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전기공사
- PLC
- 발송배전기술사
- CNCV케이블 지락사고
- 전기설계
- 강심 알루미늄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전선
- 초급감리 조언
- 공무직
- 공장공무
- 시설관리
- 사람인
- 무경력 취업
- 주택관리사
- 전기 설계 취업
- 전기 외선
- 다주택자 노하우
- 전기안전관리자
- 잡코리아
- 건설 전기 취업
- 자동고장 구분개폐기
- ACSR 케이블 지락사고
- 대학교 교직원
- 감리 전망
-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
- 전기직 군무원
- IRP
- 자동제어
- 전기직 공무원
- 잡플래닛
- 전기직
목록취업정보 (138)
전기나무숲

전기자격증을 소유한 시설관리는 괜찮습니다. 시설관리라는 직종은 나이가 들어도 언제든지 올 수 있는 직종입니다. 편하고 쉽지만 거기에 안주하게 되면 다른일을 하기 힘듭니다. 시설은 용역이 많아서 가끔 지경이나 공무직으로 가시면 300비슷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자격증 따시고 절대 오지마세요. 별거도 아닌 거로 기술이라고 안 알려주는 곳입니다. 라고 말씀하시는 분들 계십니다. 그러나 30대 후반에 시설관리를 시작한 저의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시설관리도 급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전기산업기사나 전기기사를 취득하시면 위에서 말한 시설관리와는 전혀 다른 시설관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일반회사도 사원, 주임, 대리, 과장, 차장 직급이 있잖아요? 그런데 웃긴건 각 직급에 가보지 않았다면 그 높이를 모릅니다. ..

대기업, 공무원 퇴사 후 기술 배워서 좋았던 경험 저는 대기업에서 유통 대기업에 입사해서 2년간 일하다가 영어 잘한다는 이유 하나로 중동지역에 파견당하고 한국으로 다시 부르겠다는 약속을 회사가 안 지켜서 1년 후 퇴사하고 곧바로 공무원 시험 중비해서 2015년에 30대 중반나이에 합격을 했습니다. 여기까지는 해피엔딩 대기업 퇴사 스토리 같죠? 그런데 공무원일이 정말 맞지 않아서 1년만에 의원 면직했습니다. 그리고 기술이민을 준비했으나 한국보다 열악한 의료제도, 비싼 월세 등으로 이민을 포기하게 되었습니다. 여기까지는 후회만 남은 공무원 그만둔 스토리 같죠? 그후 기술이민을 준비하려고 목수일, 타일일을 배우면서 건설일에 눈을 떴고 건축기사 자격증을 따고 건설현장에서 엔지니어로 일했습니다. 처음에는 나이가 ..

PLC 분야에서 추가로 도움이 될만한 공부 (1) 자격증 (2) 추가적인 공부 (1) 자격증 자동제어(PLC)에서 자격증은 있으면 좋으나 없어도 큰 문제가 없습니다. 실력이 우선시되기 때문입니다. 생산자동화산업기사나 메카트로닉스기사 이런거 있어도 솔직히 필요가 없습니다. 자격증 공부하는 과정을 즐기신다면 생산자동화 자격증을 꼭 따고 싶다면 본인 마음이지만요. 하지만 자동제어를 포함한 전기계통에서 일을 꼭 오래할꺼라고 생각하고 계시다면 전기기사 정도는 취득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전기기사 자격증을 따는 이유 중 하나는 전기설계 및 감리, 공사현장가거나 전기담당자 선임, 입찰할 때 등등 일종의 전기면허라고 생각해도 무방하고 전기,제어 계통에 계속 계신다면 한번을 사용할때가 꼭 옵니다. 그 외에 산업안전기사나 ..

PLC에 입문하려면 어떤 공부를 해야할까? (1) 학생이나 취준생일 경우 (2) 회사에 입사하신 분들 (1) 학생이나 취준생일 경우 학생 또는 취준생일 경우에 PLC 국비지원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비로 교육받기 때문에 자비가 안 들거나 적게 들고 오히려 취업장려금으로 돈을 지원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본인이 학위가 없거나 실력이 없어서 장기간 교육을 받고 싶으시다면 폴리텍이나 인력개발원에 1년 또는 학위과정으로 교육을 받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국비지원교육은 고용센터나 HRD-NET에 들어가시면 문의 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엔 유투브에 강의를 올려주시는 분들도 있어서 그걸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본인이 기본지식이 있고 시간과 비용이 부담이 없다면 PLC를 직접 구매하셔서 독학을 해도 좋지만..

PLC를 하고 싶다면 어떤 회사로 가야 할까? 1. 본인의 가치관에 맞는 회사 2. 처음에는 계장만 할 수 있다. 1. 본인의 가치관에 맞는 회사 보통 여러 회사를 비교해보면 어떤 회사는 기술을 배우기가 좋지만 연봉이 낮다거나 어떤 회사는 연봉이 높지만 근무조건이 나쁘다거나 그런 여러 조건이 있을겁니다. 일단은 본인이 끌리는, 본인의 가치관에 맞는 회사를 찾아 들어가시면 됩니다. 굳이 따지면 회사에서 면접보기 전에 회사에 대해 많이 알아보고 가시는 걸 추천합니다. 회사의 규모는 어떤지, 회사 홈페이지에 적혀있는 주사업이나 거래처, 실적은 어떠한지 면접보러 갔다면 구체적으로 어떠한 프로젝트를 했고 내가 입사를 하게 된다면 어떠한 일을 맡아서 하게 되는지 등등 면접보는 입장에서 질문이 많아지면 스스로에게 마..

전기 건축현장시공, 현장공무에 관한 정보 일단 전기 자격증을 취득한 후 경력을 쌓기 위해 시설관리로 먼저 가시는 분들이 있는데 시공으로 오실 생각이면 시설관리에서의 경력은 시공에서 도움이 하나도 안 됩니다. 시공으로 계획 잡으셨으면 바로 시공으로 오셔서 경력 쌓으셔야 합니다. 그렇게 무경력으로 시공으로 오시게 되면 급여는 현장시공의 경우 약 13만원, 현장공무의 경우 세전 약 300~350정도 받습니다. 현장시공의 경우 일용직으로 분류는 되지만 보통 현장 중공에 맞춰서 계약서를 적기 때문에 현장 계약직이라고 볼 수 있고 급여만 일단위로 책정하여 일정 급여일에 지급합니다. 현장공무는 상용직으로 채용을 하는데 상용직이라고 해도 현장계약직 개념을 가지고 있고 월급여를 지급받게 됩니다. 참고로 현장시공 경력자 ..

전기 PLC 취업 가능 나이와 연봉 1. 나이 2. 연봉 1. 나이 PLC분야에서 신입은 보통 나이가 젊은 사람이고 전공자나 관련 프로그램을 배운 사람을 뽑아서 일을 시킵니다. 일하시는 분마다 의견차이는 있겠지만 보통 마지노선을 30대 정도로 봅니다. 왜냐하면 PLC 는 배울게 많고 빨리 움직여야 하고 흡수력이 빨라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 경험과 실력을 쌓는 동안에 그 과정이 어렵습니다. 그리고 회사입장에서는 실력이 검증되기 전까지는 보조적인 일만 시키게 되겠고 그 상황에서는 연봉이 작을겁니다. 이런 상황을 겪어야 하기 때문에 이 과정을 버텨야 하는데 PLC 공부 하는 분들을 보면 누구는 머리가 안 돌아가서 프로그램을 짜는게 어렵다는 분들도 있고 누구는 공장에 박혀서 시운전을 계속 하는 그런 환경..

전기 PLC 취업 준비 사항, 근무환경 1. 준비사항 2. 근무환경 1. 준비사항 PLC 분야로 취업할 계획이라면 첫번째로 필요한 사항은 인성과 끈기, 열정입니다. PLC 업계가 절대 쉬운 분야가 아닙니다. 그래서 인성과 끈기, 열정만 가지고 있으면 실무를 가르쳐주면서 일을 같이 해나가자는 좋은 회사가 많습니다. 그외에 일반적인 사항은 전기자격증과 함께 PLC 경험 유무가 일반적인 자격요건입니다. 학력은 회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전문대 졸업 이상을 뽑지만 공고출신 학생들도 많이 뽑습니다. 전기자격증이 없거나 PLC경험이 없어도 열정 만 있다면 채용하고 교육 시키면서 일 시키는 중소기업도 많습니다. 회사가 크고 체계가 잡혀있는 곳이면 해외 출장이 잦을 수 있고 그렇다면 영어점수도 요구하는 곳도 있을겁니..

전기업 바닥에서 사장까지 노력해 본 후기 요즘 자격증 시대에 자격증을 많이들 취득하시고 대기업이나 공무원을 목표로 준비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많은 자격증이나 대기업이 꼭 정답은 아닐 수 있고 이런 케이스도 있다는걸 알려드리기 위한 글입니다. 20살에 우연히 전기쪽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첫 직장을 아파트 건설현장 막내로 월급 100만원 받고 일했습니다. 군대에서 전기공사병을 하고 전역 후 시설관리팀에 들어가서 기사자격증과 2년의 경력으로 20대 초반에 200만원이라는 월급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후에 건축 전기 설계로 이직해서 2년간 야근과 철야 , 주말근무를 많이 했습니다. 그렇게 열심히 한 결과 웬만한 건축물은 설계와 내역이 쉽게 뽑힐 정도로 습득했습니다. 그러나 저는 기술사라는 목표가 있었고 회사를 ..

전기 설계 취업(한전배전설계, 전력시설물설계) 전기에서 설계라고 하면 한전배전설계와 전력시설물 설계로 나눠집니다. 일반전기공사업체에서는 설계파트는 따로 없어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먼저 배전설계를 설명드리면 한전단가업체라는 한전협력사가 있습니다. 이들은 고압단가와 저압단가로 나눠지는데 대체로 한업체에서 고압저압일을 같이 합니다. 여기서 고압단가라고 하면 배전선로 정비, 신규증설 등등 합니다. 저압단가는 말그대로 600V 이하 저압계량기부설 외선공사 등등을 합니다. 다시말해 단가업체에서는 현장시공과 설계공무로 나눠집니다. 여기에서 설계란 기존에 한전데이터에 그려져 있는 도면 위에 신규로 배전선로를 기입하는 말그대로 설계라는걸 합니다. 취업폭이 좁고 임금 또한 박한 편 입니다. 중급이상이라 기능사도 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