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시설관리
- 전기직 공무원
- 공장공무
- 전기 설계 취업
- 공무직
- 전기직
- 자동제어
- IRP
- 주택관리사
- 사람인
- 전기공사
- 전기안전관리자
- ACSR 케이블 지락사고
- 잡코리아
- 건설 전기 취업
- 대학교 교직원
- 전기설계
- 자동고장 구분개폐기
-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
- 무경력 취업
- 전기 외선
- PLC
- 강심 알루미늄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전선
- 전기직 군무원
- CNCV케이블 지락사고
- 잡플래닛
- 초급감리 조언
- 다주택자 노하우
- 감리 전망
- 발송배전기술사
목록유용한정보/전기문제 (34)
전기나무숲
전신주 위의 22.9 ACSR OC 절연전선 지락사고 이유 1. 문제상황 전신주 위에 22.9ACSR OC(강심 알루미늄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전선) 피복이 있어 절연이 되어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격오지에서 근무를 하는 데, 동물접촉 및 나무에 닿아서 1선 지락사고가 나서 변대주의 COS가 탈락되는 현상이 잦아서 의문이 듭니다... 전선이 노후돼서 피복이 벗겨진 곳에 나무가 닿아서 1선 지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코로나 현상에 의해 나무와 전선이 닿는 곳에서 공기가 절연파괴가 되면서 아크가 생기고 전선의 피복이 열화돼서 녹아버리고 그 상태에서 또 수목에 닿아서 1선 지락사고가 발생하여 COS가 탈락되는 건가? 2. 이유 (1) ACSR OC전선은 CNCV케이블과 같이 완전 절연이 아닙니..
배선용차단기 화재 발생했을 경우 가능성 있는 원인 1. 문제상황 사용 용도는 축전지 개폐용으로 3극 사용 했고, 실제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는 실부하 조건에서 150A 이하입니다. 차단기는 다행히 트립 되있었고 차단기는 샤시에 붙을 정도까지 녹아있었고 상부에 지나는 일부 배선이 화재로 인해 피복이 벗겨저 있었고 그을음으로 덮여져 있었습니다. 다행히 입력단에는 영향이 가지 않은 상태입니다. 원인이 무엇일까요? 2. 가능성 있는 원인 (1) 과부하시 차단하고 소호를 못해 불이 났을경우 차단기 접촉저항이 높아서 그부분에서 아크가 일어났을경우 차단기 안에 부스가 떨면서 아크가 났을경우 3가지 같은데요 (2) 우선 축전지 개폐용이라 하셨는데, Battery를 말씀하시는건지, 아니면 전력용 콘덴서를 말씀 하시..
자동고장 구분개폐기(ASS)와 차단기의 차이 ASS(자동고장 구분개폐기) -수용가 측의 사고발생 시 사고 전류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접점을 분리시켜 사고구간을 분리하는 것 무부하시 개방가능하고 과부하시 자동으로 개폐하는 고장구분개폐기로써 돌입전류억제기능잇다. 차단기 -부하전류를 개폐함과 동시에 단락 및 지락사고 발생 시 각종 계전기와의 조합으로 신속히 전로를 차단 궁금증 ASS와 차단기 사이에 차이점이 없는거 같은데 왜 ASS는 차단기가 아닌 개폐기로 불리는것인가요? 개폐기는 고장 전류시 선로를 개폐할 수 없다고 하는데 정확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해답 (1) ass가 단락전류를 끊어내지 못하기 때문이죠 과부하 까진 자동으로 커버하는데 단락전류 차단이 안되니까 그런류의 고압개폐기들은 한류퓨즈랑 조합해서 30..
수배전반 VCB에서 아크 발생 시 해결방법 1. 문제상황 VCB 판넬 후면에서 지지지~~~하는 코로나 방전소리가 났습니다 소리가 발생되는곳이 어딘인지 육안으로 찾을 수 없었서 혹시나 해가 지고 난뒤에 깜깜한 저녁이 되면 아크가 보일까하여 확인해보니 정말 미세하게 아크가 발생되는곳을 찾을수 있었습니다. 모두가 그렇겠지만 현재 제조업인 회사가 너무 경기가 어렵다보니 정전 후 VCB 판넬만 재 점검을 받자고 말하기도 어렵고, 교체는 꿈도 못꾸고 있는데 저는 두렵기만 합니다. 현 상태에서 얼마나 더 사용을 할 수 있는건지?, 아니면 해결 방법이 있는건지? 교체를 해야 한다면 최소 몇 일에서 몇 주안에 해야하는지 질문드립니다. 2. 원인, 해결방법 (1) 제가 볼때는 표시하신부분은 상건절연판인거 같아요 상간절연판..
비상발전기 무부하 운전 방법, 정지현상 1. 문제상황 (1) 방법 비상발전기를 시험운전 하려고 합니다. 무부하운전을 하려는데 수동모드로 놓고 바로 기동을 하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사진과 같은 전자식 컨트롤러로 비상발전기를 운전하는데, 평상시엔 자동모드에다가 차단기차단으로 설정해둡니다. 무부하운전시에 차단기 투입을 굳이 할 필요는 없겠지요? 무부하운전시에 차단기를 투입하고 안 하고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2) 정지현상 비상발전기 무부하 운전시 모터가 7~8초정도 돌다가 꺼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요. 배터리도 24v 나오고요. 연료 배선 쪽에 에어가 차서 가동이 안될수가 있다고 하여 에어 빼는 작업을 해주었고 무부하 운전이 정상적으로 가동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1주후에 다시 무부하 운전을 해보았더니..
저압진상콘덴서의 역할과 원리 교체방법 1.역할 (1) 팩트는 역율개선이 주목적으로 1. 에너지 저장 2. 직류를 차단하고 교류만 통과 3. 노이즈 제거 4. 주파수 필터링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교류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발생하는데 이것을 역율이라 하고 역율은 1을 기준으로 수용자가 전력을 쓸때 0.9이상 높여 사용해야 합니다 어떤 기기를 사용할때 효율이라는 것이 있잖아요? 즉,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 콘덴서를 사용합니다. 코일부하 .. 그러니까 전동기등 을 사용하면 역률이 저하됀다고 봤습니다. 부하쪽에 가깝게 용량선정 잘해서 병렬 설치해서 역률개선 .. 단상 모터의경우 기동용,정역운전 으로 사용 (2) 콘덴서는 동력부하,코일부하등을 사용하는 분전반(MC분전반)은 다 설치를 해야 하고 콘덴서와 함께..
CT나 PT의 교체 주기는 얼마인지? 1. 문제상황 공장에서 정전사고가 일어 났는데요 고압반 T상 CT 가 절연이 파괴되어 지락 계전기 64가 게속동작되어서 정전 사고가 일어 났습니다. 이거 찾는데 시간을 좀 소비해서 대략 6시간정도 정전이 된거 같습니다. spare CT로 교체하고 나서 정상으로 돌아 왔습니다. 1. 궁금한점은 CT교체 주기 및 PT 교체주기도 알고 싶습니다. PT도 오래되면 교체해야 하는지? 2. 전기 정기검사(4년만에 한번씩?) 시에는 이런부분까지는 점검이 안되는 건지? 2. 해결법 교체주기는 정해진건 없습니다. 단 일본전기학회지에 기술된 기기교체권장주기는 10~15년입니다. CT보단 PT가 고장발생률이 높습니다. 전기기기는 설비 환경,온도,습도,돌입전류에의한 스트레스 등 원인은 다..
3상모터 한 상만 발열이 발생하는 상황 1. 문제상황 설비점검중 한상에서만 발열현상이 일어나는데 이유가멀까요? 전류는 23, 22, 23 으로 오히려 주변부보다 약간낮습니다 단자불량이 아닐까 싶다가도 단자뿐만아니라 선전체가 온도가 높아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2. 원인, 해결방법 (1) 단자 조임 상태, 그리고 접속부의 열화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3상 모터는 아니고 단상 부하의 경우에 한 선이 온도가 많이 높아서 차단기 내리고 선 분리해보니 선로 접속부가 타있었습니다. 잘라내고 다시 재접하여 정상화 되었구요. 그래도 이상이 있다면, 차단기 내리시고 모터 상간 저항을 재보십시오 (2) 단자접속 불량 또는 터미널 압착불량 둘중하나 일겁니다. 잘라내고 다시 재접속 추천 (3) 접속단자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았을때..
인버터가 소손 되는 원인 파악 1. 문제상황 생산라인 PLC, 인버터 모두 LS 사용중입니다. 전체라인 대략 인버터 70개 정도 사용중 IG5A 사용중이구요 한달에 평균 1~2개씩은 교체 부하의 종류는 3상모터를 가동해서 컨베어 동작, 혹은 펌프 동작이 대부분입니다. 유독 컨베어 모터가 소손되는 경향은 있습니다. 먼지는 많은 환경입니다. 소손된 인버터 빼보면 팬에 먼지는 많습니다. 그래서 일단 먼지 영향을 제일 우선순위로 생각하고는 있습니다. 수리를 자주보내는 편인데 "인버터 내부 열화로 인하여 콘덴서 수명 저하" 라고 하네요 2. 원인파악 (1) 플랜트는 중국산 국산 (엘에스) 안쓰는 이유 환경이 안좋은 경우 수명이 매우짧아 인버터가 터져나가 라인이 서버리면 손해가 막심하시때문입니다. 비싸지만 외산쓰는..
변압기의 %Z(퍼센트임피던스)가 무엇인지 1. %Z란? : 회로내에서 정격전류(In)이 흐를때 기기내부 전압강하(e)가 정격전압(Vn)의 몇 %인지를 나타내는 값 : 퍼센트 임피던스의 정식명칭은 퍼센트 임피던스'전압강하' 단순 임피던스(단위 옴)보다 전압강하율에 가까운 개념 이라고 생각됩니다. 2. %Z 확인방법 정격전류를 흘려 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 e 를 측정하고, 이때 e를 임피던스전압강하라고 합니다. 그게 정격전압의 몇 %인지 구하면 %Z입니다. 단락시험을 통해서 구합니다. 2차측을 단락시켜 회로내 부하가 해당 기기만 존재하게하고, 전류계의 값이 정격전류때 전압계의 값을 측정합니다. 다른 기기가 없기 때문에, 정격전류시의 전압계값이 임피던스전압강하(e)가 되고 이것을 이용하여 %Z를 구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