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무직
- 발송배전기술사
- 주택관리사
- 자동고장 구분개폐기
- 건설 전기 취업
- 잡플래닛
- 전기직
- 시설관리
- 사람인
- 잡코리아
- 강심 알루미늄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전선
- PLC
-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
- 전기안전관리자
- 무경력 취업
- 전기직 공무원
- 다주택자 노하우
- ACSR 케이블 지락사고
- 공장공무
- 감리 전망
- 전기직 군무원
- 대학교 교직원
- 전기공사
- 전기설계
- 자동제어
- 초급감리 조언
- CNCV케이블 지락사고
- IRP
- 전기 설계 취업
- 전기 외선
목록전기 외선 (2)
전기나무숲

전기 외선과 내선 업무 및 장단점(외선위주) 보통 외선은 두가지로 나누어집니다. (1) 가공배전 (2) 지중배전 그 다음에 또 나눠지는데 - 특고압 - 저압 이렇게 나눠집니다. (1) 가공배전은 전봇대나 송전탑에 매달려서 작업을 하는 것 입니다. 일당은 한국에서 쓰리디 업종 치고는 잘 받는 편입니다. 그러나 외국에서는 그 돈 받고 그 일 안 합니다. 보통 가공배전 , 배전활선, 무정전 순입니다. 오른쪽으로 갈수록 단가가 쎄집니다. 가공배전은 사선을 만지는데 보통 6000정도 받는다고 들었습니다. 활선이나 무정전은 1억2000정도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은 대부분 무정전이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당연히 그렇게 일하면 난리가 납니다. 인권단체부터 국제기구까지 와서 태클 걸겁니..

외선 현장대리인, 배전시공 실무에 대해 외선공자(배전단가업체)는 잘 알려져있지 않습니다. 전체 전기인중에 10프로도 안될듯합니다. 그래서 주위에 이 일을 하는 사람을 찾기 쉽지 않아서 정보를 얻기 힘듭니다. 외성공사는 대략 2,3가지 정도의 패턴으로 업체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나는 2년마다 입찰을 봐서 한전과 계약해서 2년동안 공사를 하는 연간단가업체가 있고 또 하나는 일정 금액 이상 현재는 도급액 8천만원 이상의 입찰공사를 낙찰받아 하는 업체가 있습니다. 또는 일부 민수 임시 동력 공사만 하는 업체 등 있습니다. 물론 내,외선 동시에 하는 업체도 있고요. 이런 회사들은 보통 현장에서 일하는 외선전공(무정전, 배전, 지중 전공) 보조 인력 및 장비기사 등으로 구성이 되어져 있습니다. 무정전 전공들은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