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NCV케이블 지락사고
- 무경력 취업
- 다주택자 노하우
- 전기직 군무원
- 시설관리
- 자동고장 구분개폐기
- 초급감리 조언
- 전기직 공무원
- 전기안전관리자
- 전기설계
- 자동제어
- 강심 알루미늄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전선
-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
- 발송배전기술사
- 사람인
- PLC
- 전기 외선
- 공장공무
- 감리 전망
- 잡코리아
- ACSR 케이블 지락사고
- 전기공사
- 주택관리사
- 전기직
- 건설 전기 취업
- 공무직
- 대학교 교직원
- 전기 설계 취업
- 잡플래닛
- IRP
목록취업정보/전기취업 (30)
전기나무숲

건설쪽 전기과가 취업하면 하게 되는 일 강전 약전 나눠서 공사를 하는데 강전이고, 약전이고 모두 전기부에서 관리합니다. 쉽게 설명해서 전기기사나 전기공사기사 자격증 있는 전기부 직원이 흔히들 생각하는 전기공사를 담당하고, 나머지 전기소방, 통신, CATV, 홈넷, CCTV, 엘리베이터, 등등 모든 약전도 전기기사나 공사기사가 관리 합니다만... 전자과는 전기전자가 자주 흔히 같이 묶여서 많이 이야기를 하니깐 뽑고나서 전기업무를 교육시키는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가설전기부터 건물에 들어가는 모든 전기관련된 시스템 설치가 주 임무라고 보면 쉽게 다가갈수 있습니다. 즉 우리가 대학에서 혹은 전기기사나 공사기사를 공부하면서 배우는 도면이나 공사방법 그리고 시공관리까지 담당하죠. 안전쪽에 따로 근무자가 없다면 전기..

PLC 분야에서 추가로 도움이 될만한 공부 (1) 자격증 (2) 추가적인 공부 (1) 자격증 자동제어(PLC)에서 자격증은 있으면 좋으나 없어도 큰 문제가 없습니다. 실력이 우선시되기 때문입니다. 생산자동화산업기사나 메카트로닉스기사 이런거 있어도 솔직히 필요가 없습니다. 자격증 공부하는 과정을 즐기신다면 생산자동화 자격증을 꼭 따고 싶다면 본인 마음이지만요. 하지만 자동제어를 포함한 전기계통에서 일을 꼭 오래할꺼라고 생각하고 계시다면 전기기사 정도는 취득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전기기사 자격증을 따는 이유 중 하나는 전기설계 및 감리, 공사현장가거나 전기담당자 선임, 입찰할 때 등등 일종의 전기면허라고 생각해도 무방하고 전기,제어 계통에 계속 계신다면 한번을 사용할때가 꼭 옵니다. 그 외에 산업안전기사나 ..

PLC에 입문하려면 어떤 공부를 해야할까? (1) 학생이나 취준생일 경우 (2) 회사에 입사하신 분들 (1) 학생이나 취준생일 경우 학생 또는 취준생일 경우에 PLC 국비지원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비로 교육받기 때문에 자비가 안 들거나 적게 들고 오히려 취업장려금으로 돈을 지원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본인이 학위가 없거나 실력이 없어서 장기간 교육을 받고 싶으시다면 폴리텍이나 인력개발원에 1년 또는 학위과정으로 교육을 받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국비지원교육은 고용센터나 HRD-NET에 들어가시면 문의 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엔 유투브에 강의를 올려주시는 분들도 있어서 그걸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본인이 기본지식이 있고 시간과 비용이 부담이 없다면 PLC를 직접 구매하셔서 독학을 해도 좋지만..

PLC를 하고 싶다면 어떤 회사로 가야 할까? 1. 본인의 가치관에 맞는 회사 2. 처음에는 계장만 할 수 있다. 1. 본인의 가치관에 맞는 회사 보통 여러 회사를 비교해보면 어떤 회사는 기술을 배우기가 좋지만 연봉이 낮다거나 어떤 회사는 연봉이 높지만 근무조건이 나쁘다거나 그런 여러 조건이 있을겁니다. 일단은 본인이 끌리는, 본인의 가치관에 맞는 회사를 찾아 들어가시면 됩니다. 굳이 따지면 회사에서 면접보기 전에 회사에 대해 많이 알아보고 가시는 걸 추천합니다. 회사의 규모는 어떤지, 회사 홈페이지에 적혀있는 주사업이나 거래처, 실적은 어떠한지 면접보러 갔다면 구체적으로 어떠한 프로젝트를 했고 내가 입사를 하게 된다면 어떠한 일을 맡아서 하게 되는지 등등 면접보는 입장에서 질문이 많아지면 스스로에게 마..

전기 건축현장시공, 현장공무에 관한 정보 일단 전기 자격증을 취득한 후 경력을 쌓기 위해 시설관리로 먼저 가시는 분들이 있는데 시공으로 오실 생각이면 시설관리에서의 경력은 시공에서 도움이 하나도 안 됩니다. 시공으로 계획 잡으셨으면 바로 시공으로 오셔서 경력 쌓으셔야 합니다. 그렇게 무경력으로 시공으로 오시게 되면 급여는 현장시공의 경우 약 13만원, 현장공무의 경우 세전 약 300~350정도 받습니다. 현장시공의 경우 일용직으로 분류는 되지만 보통 현장 중공에 맞춰서 계약서를 적기 때문에 현장 계약직이라고 볼 수 있고 급여만 일단위로 책정하여 일정 급여일에 지급합니다. 현장공무는 상용직으로 채용을 하는데 상용직이라고 해도 현장계약직 개념을 가지고 있고 월급여를 지급받게 됩니다. 참고로 현장시공 경력자 ..

전기 PLC 취업 가능 나이와 연봉 1. 나이 2. 연봉 1. 나이 PLC분야에서 신입은 보통 나이가 젊은 사람이고 전공자나 관련 프로그램을 배운 사람을 뽑아서 일을 시킵니다. 일하시는 분마다 의견차이는 있겠지만 보통 마지노선을 30대 정도로 봅니다. 왜냐하면 PLC 는 배울게 많고 빨리 움직여야 하고 흡수력이 빨라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 경험과 실력을 쌓는 동안에 그 과정이 어렵습니다. 그리고 회사입장에서는 실력이 검증되기 전까지는 보조적인 일만 시키게 되겠고 그 상황에서는 연봉이 작을겁니다. 이런 상황을 겪어야 하기 때문에 이 과정을 버텨야 하는데 PLC 공부 하는 분들을 보면 누구는 머리가 안 돌아가서 프로그램을 짜는게 어렵다는 분들도 있고 누구는 공장에 박혀서 시운전을 계속 하는 그런 환경..

전기 PLC 취업 준비 사항, 근무환경 1. 준비사항 2. 근무환경 1. 준비사항 PLC 분야로 취업할 계획이라면 첫번째로 필요한 사항은 인성과 끈기, 열정입니다. PLC 업계가 절대 쉬운 분야가 아닙니다. 그래서 인성과 끈기, 열정만 가지고 있으면 실무를 가르쳐주면서 일을 같이 해나가자는 좋은 회사가 많습니다. 그외에 일반적인 사항은 전기자격증과 함께 PLC 경험 유무가 일반적인 자격요건입니다. 학력은 회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전문대 졸업 이상을 뽑지만 공고출신 학생들도 많이 뽑습니다. 전기자격증이 없거나 PLC경험이 없어도 열정 만 있다면 채용하고 교육 시키면서 일 시키는 중소기업도 많습니다. 회사가 크고 체계가 잡혀있는 곳이면 해외 출장이 잦을 수 있고 그렇다면 영어점수도 요구하는 곳도 있을겁니..

전기 설계 취업(한전배전설계, 전력시설물설계) 전기에서 설계라고 하면 한전배전설계와 전력시설물 설계로 나눠집니다. 일반전기공사업체에서는 설계파트는 따로 없어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먼저 배전설계를 설명드리면 한전단가업체라는 한전협력사가 있습니다. 이들은 고압단가와 저압단가로 나눠지는데 대체로 한업체에서 고압저압일을 같이 합니다. 여기서 고압단가라고 하면 배전선로 정비, 신규증설 등등 합니다. 저압단가는 말그대로 600V 이하 저압계량기부설 외선공사 등등을 합니다. 다시말해 단가업체에서는 현장시공과 설계공무로 나눠집니다. 여기에서 설계란 기존에 한전데이터에 그려져 있는 도면 위에 신규로 배전선로를 기입하는 말그대로 설계라는걸 합니다. 취업폭이 좁고 임금 또한 박한 편 입니다. 중급이상이라 기능사도 할 수 있..

무경력 40대 전기기사 취득 후 이직 가능 여부 전기기사 취득 후 다양한 분야로 나이 제한 없이 취업 가능합니다. 가장 취업에 빠른 것이 시설관련 분야입니다. 시설관련 분야에서 대표적인 곳이 아파트 관리 과장입니다. 수요가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경력수첩 중급이상(무한대 전력선입)이 가능해야 합니다. 전기기사 취득 후 2년이란 과정이 필요 합니다 대부분 아파트 시설기사로 2년 경력후 전기과장자리로 가는게 보편적입니다. 간혹 아파트 쪽이 아니라 전기공사업체로 취직해서 경력쌓아서 시설로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 생각엔 전기기사 취득후 그래도 전기공사 관련된 경험정도 가지고 있으면 전기업무에 아주 많이 도움 됩니다. 아파트에서 시설기사로 일하게 되면 2년간 연봉은 세대수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세전 250~2..

전기 설계 취업에 관한 생각 전기 설계는 하나의 기술입니다. 배우기까지 뼈를 깎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야근도 많이 있지만 남보다 많이 배우려면 주말이나 야근을 하면서 배워야 합니다. 선배들이 잘 안알려 줍니다. 알려줘도 알아듣기 힘들고요. 일단 캐드(cad)는 기본 명령어는 아시고 가면 좋습니다. 하지만 할줄 몰라도 됩니다. 설계사무소 특성상 신입들어오면 바로 도면 그리라고 하지 않습니다. 출력을 당분간 하시고 시간되실때 도면 보고 독학이 필요합니다. 그러다가 선임이 한가해 보이면 왜 이렇게 하는지 질문하면서 자기것으로 만드셔야 남들 5년 이상 해서 수변전실 할 때 2~3년 안에 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이 있으시면 내선규정이나 판단기준은 대략은 아시기에 판단 가능하실겁니다. 캐드는 하시다보면 왼손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