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NCV케이블 지락사고
- 초급감리 조언
- 자동제어
- 잡코리아
- 무경력 취업
- 다주택자 노하우
- 전기안전관리자
- 전기 설계 취업
- 전기직 군무원
- 전기직 공무원
- 공무직
- 자동고장 구분개폐기
- 시설관리
- IRP
- 대학교 교직원
- 강심 알루미늄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전선
- ACSR 케이블 지락사고
-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
- 건설 전기 취업
- 잡플래닛
- 전기직
- 사람인
- 주택관리사
- 전기설계
- 발송배전기술사
- 감리 전망
- 전기 외선
- 공장공무
- PLC
- 전기공사
목록전체 글 (204)
전기나무숲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wCN8/btryYmCrPYi/zVokHx1YS1U9mjWKbaMcd1/img.png)
30대 주택관리사 취득 후 진로 서울에 있는 건물관리회사의 관리팀장이 알려주는 주택관리사 취득 후 방향입니다. 참고바랍니다. 저는 서울에 있는 건물관리회사(남들이 생각하기기에 용역회사라면 이해가 되실겁니다.)의 관리팀장입니다. 경비지도사 자격증으로 경비원 관리를 하면서 소장들과 업무를 조율하는 일을 합니다. 30대 정도 나이라고 하면 젊은 나이에 주택관리사에 도전하시는 겁니다.. 보통 출판사의 장밋빛 전망으로 인해 진입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자격증 취득 후 들어왔다가 갑질에 놀라서 떠나시는 분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그래서 면접볼 때 갑질에 버틸 수 있거나 어느정도 개념이 잡혀있는지 알기위해 경험에 대한 질문을 많이 합니다. 그리고 30대에 주택관리사에 도전하시려면 주택관리사가 교육을 통해서 받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bUqIq/btryQ07sAeY/NikN4GRlfZnkPH5uCxZSGk/img.png)
30대, 40대를 위한 소방 쪽 진로 추천 늦게 진로를 변경하시거나 취업처를 찾지 못하시는 소방분들은 참고바랍니다. 일단 경력은 점검 1년을 해보시면서 소방구조 및 전반적인 이해도를 쌓고 공사는 2년 정도 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이렇게 점검이나 공사 경력을 쌓으라고 말씀드리는 이유는 뒤에서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 이정도 해보시면 기본적인 실무는 어느정도 알게 되실겁니다. 1. 사기업 사기업은 크게 소방안전관리자나 위험물안전관리자를 채용하고 자체소방대와 방재실, 상주점검직(관리사 채용)을 합니다. 보통 규모가 큰 공장이며 안주로 초대졸이나 경력직을 채용 합니다. 뽑는 인원 자체가 그렇게 많지 않아 경쟁은 쎌수도 있으나 급여는 가장 좋은 편 입니다. 사람인, 잡코리아 등 채용사이트나 네이버 채용 카페를 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MQUY/btryNjZe9a1/4XWPJRkZyKThjMnkShCkl0/img.png)
40대에 캐나다 이민을 한다면? 40대에 캐나다로 이민을 도전해본 입장에서 캐나다 이민이 어떤가 정보를 주는 글입니다. 이민을 고민 중이신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1) 캐나다 이민했을 떄 나이가 많아도 취업이 될까? 아무리 오세아니아, 유럽, 북미 같은 곳이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나이를 보지 않는다고는 하더라도 나이를 전혀 안 보는건 아닙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경력이 많이 있더라도 그 경력을 살려서 경력직으로 취직이 되는게 아니라면 말단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특히 한국에 있을 때 스카웃 돼서 간게 아니라면 처음엔 거의 말단에서 시작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자존심을 조금 버리시더라도 나이가 있어서 여러 경험이 많은데 20대 친구들과 비슷한 돈으로 채용할 수 있다는 점을 어필하시면 취업이 불가능 하지는 않습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ANAw/btryJwxA1cO/QU3JrcQjM7AYwWYSyKirR0/img.png)
산학협력단 취업에 대한 정보 대학교 안에 있는 산학협력단을 궁금해 하시는 분들 참고바랍니다. 국립인지 사립인지 2년제인지 4년제인지 대학 종류에 따라 조직구조나 특성, 상황이 다를 수있으니 참고만 바랍니다. 산학협력단이란? 더느 대학의 자회사라는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편합니다. 대학의 교육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해서 대학, 지역 사회, 기업이 공생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곳입니다. 대하가도 국가에서 평가를 받기 때문에 실적이나 재정자립도가 중요합니다. 그래서 대학의 연구나 실적을 관리, 수주하고 외부에서 돈을 벌어와서 대학에 보탬이 되는 역할을 하는 곳이 산학협력단입니다. 독립법인인란? 일정 수준 이상의 대학교 라면 독립법인으로 대학 초창기때 산학협력단이 설립되었을 겁니다. 독립법인은 고려대라고 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9HTQ/btryoZn74EE/8FdzPLUObX7edJq56PZ8eK/img.png)
공대(전자전기, 화공, 토목, 기계) 전공별 취업 특징 전자전기, 기계, 화공, 토목을 대학교에 가서 전공하고 취업할 때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자. 컴공을 제외한 공돌이는 대부분 지방으로 유배간다는 의견이 많은데 이건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 서울에는 거의 없는게 맞긴 하지만 경기도권에 갈 수 있는 곳이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대전 청주 천안 울산 등에도 꽤 많은데 이정도면 지방이긴해도 오지까지는 아닙니다. 저는 현재 서울에서 통근 가능한 경기도권 대기업에 다니고 있는데 저의 대학 동기 친구 9명중 6명이 취업을 했는데 6명 중 1명 제외하면 모두 수도권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지방으로 유배가는 비율은 토목 > 화공> 기계 > 전자 전기 순이라고 봅니다. (1) 전자전기과 컴공을 제외하고 가장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lT0ko/btryg4QMSZr/nOrVvUcBTYlVKwdWcopUWK/img.png)
공인중개사 시험 준비는 신중하게 공인중개사 시험을 합격한 후 수년간 중개업을 하다가 적성에 맞지 않아서 그만둔 분의 글입니다. 주관적인글이니 참고만 바랍니다. 본 생각은 저의 개인적인 생각과 중개업을 하시는 많은 사장님들과 지인들과 지내보면서 겪었던 중개업에 관한 글입니다. 중개업 현실을 다들 아실 것입니다. 최근에는 공인중개사 제도까지 위협하는 정책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넷이 발달되면서 많은 제도들이 바뀌고 있는데 공인중개사도 예외가 아닙니다. 공인중개사회가 의사협화나 변호사협회처럼 정책의 형성에 강한 힘을 가지지 못했기 때문에 변화하는 정부의 정책에 따라 휘둘립니다., 매년 몇만명 씩 공인중개사들이 배출되고는 있지만 더이상 설 자리가 없습니다. 그래도 기존 영업망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조금은 괜찮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JImY/btrye3qlD0M/lwrj4xAN3RPw51IGFTlsIK/img.png)
한국도로공사 직무 정보(도로관리원, 순찰원, 상황관리원) 현직이 알려주는 주관적인 글입니다. 참고만 바랍니다. (1) 도로관리원, 순찰원, 상황관리원의 공통점 세 직렬 모두 무기계약직으로 시작합니다. 도로관리원과 상황관리원은 진급시 정규직이 됩니다. 순찰원은 아직 진급제도가 없습니다. 호봉만 있습니다. 다른 직렬도 몇개 있지만 극소수이기 때문에 제외하겠습니다. 블라인드 채용이기 때문에 자소서, 스펙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자격증만 중요합니다. 지사별로 케이스 바이 케이스가 심합니다. 편한 지사는 정말 편하지만 힘든 지사는 아주 힘듭니다. 기본적으로 수도권 광역시에 가까울수로그 화물차가 많은 노선일수록 힘들고 시골, 관광노선일수록 편합니다. 채용이 불규칙적 수시채용이기 때문에 언제 내가 사는 지역에서 채용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CC88M/btrydhaJwAC/PA9Tkg51KGwCRuUJrXIX2k/img.png)
주택관리사(보) 취득 후 관리소 취업 시설관리를 일찍 시작해서 거의 20년 가까이 일한 현직자가 느꼈던 관리소의 특징적인 부분들에 대해 말씀드립니다. 제가 막내였을때부터 지금까지 제가 모셨던 소장님들 또는 주변단지 소장님들의 평균 연령은 55~60세 였습니다. 조금 젊은 분은 50~55세 정도 됐고요. 제가 막내로 시설직 근무하던 2000년~2010년도에는 1~2세대 주택관리사 분들이 현장에서 주를 이룰때다보니까 시설직 근무경험이 따로 필요하던 시기가 아니었습니다. 나이대도 50~60대가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당시에는 소장 뿐만 아니라 관리소 직원들의 연령 자체가 아주 높았습니다. 시설직 막내인 제가 22살일때 나머지 분들의 나이는 40대 중후반에서 60대까지 다양했스빈다. 그러다 제가 전기기사 취득후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