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발송배전기술사
- PLC
- 전기 설계 취업
- 전기설계
- 전기직 군무원
- 강심 알루미늄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전선
- 건설 전기 취업
- ACSR 케이블 지락사고
- 전기안전관리자
- 대학교 교직원
- 공무직
- IRP
- 초급감리 조언
- 잡플래닛
- 전기직
- 공장공무
- 전기 외선
- 사람인
- 다주택자 노하우
- 주택관리사
- 시설관리
- 무경력 취업
- 자동제어
- CNCV케이블 지락사고
- 전기공사
-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
- 잡코리아
- 전기직 공무원
- 자동고장 구분개폐기
- 감리 전망
목록전체 글 (204)
전기나무숲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i7ZJs/btrCcEMPxAS/10Inh3MJwlbcX7Wj5xGPbK/img.png)
5,60대 노후 취업 방법 여러가지 생각(전0기,기계) 불과 20년, 30년 전 정도만 해도 저희 선배님들은 58세 정년을 마감하고 이후 1~2년 정도 재취업해서 일하다가 쉬고 5년에서 10년정도 살다가 세상을 떠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노후준비가 별로 필요가 없었습니다. 직장에서 일하는 동안 열심히 벌어놓은 것을 좀 쓰다보면 가기 때문이었죠. 그런데 지금은 어떨까요? 지금의 60대는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아주 팔팔합니다. 현재 60대에 들어선 분들과 50대인 분들의 평균수명이 80대 중후반에서 90대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수명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이제는 최소 60대 후반에서 가능하다면 70대 중반까지도 무엇을 하던지간에 직업을 가지고 있어야 남은 긴 여생을 준비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jtOZ/btrCak1NBMs/pVdPOnQc1SDDTbkKXx5fB0/img.png)
시설관리 전기인의 인생 경험 공유(동기부여) 시설관리 직장을 다니면서 이직한 분의 경험입니다. 동기부여를 위해 올립니다. 저는 아무런 스펙과 경험 없이 시설관리직에 서른일곱살에 들어왔습니다., 자격증도 경력도 없고 나이도 서른 중반을 넘다보니 자기소개서를 보내도 면접보러 오라는 곳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제 친구가 저의 자기소개서를 적당히 수정해준 후 간신히 첫 시설관리 직장에 들어갔습니다. 첫 시설관리는 호텔 시설팀에 설비분야였습니다. 처음에 아무것도 모르고 눈썰미도 손재주도 부족한 저에게 아무도 도움을 주지 않았습니다. 나이 어린 시설관리 선배들에게 혼나기도하고 욕도 먹기도 하고 했습니다. 힘들었지만 저는 처자식을 생각하며 버텼습니다. 선배들을 따라다니면서 일하는 방법 공구 사용방법 같은 것들을 모조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7lPc7/btrBXv5aMlP/4CyacMI4QaLOx3ulPRsog1/img.png)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이직 성공 후기 지방전문대 전자과의 한국전기기술인협회 합격후기 입니다. 취업 참고를 위해 올립니다. 공기업 이직 준비 계기 저는 제조업 중견기업에서 정규직으로 품질관리 업무를 4년 정도 맡아서 했습니다. 제조업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신제품 셋업, 불량 분석과 개선, 고객 대응 등으로 인하여 만성적인 야근 환경이 조성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가졌습니다. 또한 지금 당장 반도체가 잘 된다고 해도 10년 20년 후에도 반도체가 잘 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반도체가 잘되지 않는다면 나중에 구조조정이 뒤따르겠죠. 저는 이런 부분들에서 불안함과 스트레스를 많이 느껴서 미래에 대한 고민을 했고 공기업으로 이직하기로 했습니다. 공기업 취업준비 처음에 공기업으로 취업 준비를 시작할 때 전문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XVu1/btrBNTkNmYj/5j62iCBrkrkOU1EDmwIZ7k/img.png)
20대~30대 버스기사에 취업에 대해 알아보자. 버스기사는 보통 나이 많으신 분들이 한다고 생각하는데 요즘엔 젊은 사람들 중에도 도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버스기사 취업에 대해 관심있는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21년 기준 현재 버스기사로 일하는 제 연봉은 4천 후반에서 5천 초반정도 됩니다. 월급으로 치면 330만원에서 350만원, 연차수당불포함(미사용시에 160만원에서 180만원), 전별금 (1년 이상시 환불 연 200만원 정도). 제 경력이 거의 3년 가까이 되었는데 대기업 대리급 연봉하고 비슷합니다. 급여 인상에 관련해서는 아직 협상중이기도 하고요. 결론적으로 해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디에가도 3년 경력에 연봉5천만원 주는 직장 구하기 쉽지 않습니다. 초반만 잘 버티시면 됩니다. 초반에 마을버스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2HHpz/btrBJMGkT14/DPodaiTnppkd1pQBZOABPK/img.png)
계장공 초보는 도면으로 배우셔야 합니다. 계장공 기술을 배우고 싶은 초보자 분들이 참고하시면 좋은글입니다. 저는 91년도부터 계장공일을 해서 30년간 했습니다. 이쪽 일에 관심이 있어서 시작하시려는 분들이나 기술을 배우고 싶으신 분들에게 몇가지만 알려드리겠습니다. 저는 2006년도부터 독립해서 회사를 차리고 많은 후배들을 봤습니다. 대부분 이 업계와 상관없는 곳에서 일하다가 우리회사와서 일을 배우고 가셨습니다. 몇명 자랑할만한 사람들을 얘기해보자면 생산관리로 엑셀작업만 하던 친구가 있었는데 4년정도 일을 배우고 연봉 2.4억에 다른 회사로 취직한 친구가 있습니다. 그리고 7년정도 일을 배우고 연봉 1.5억에 모회사 기술 이사로 간 친구도 있습니다. 또 한명은 연매출 400억 정도되는 반도체설비업체의 상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ncHb/btrBOvP7MNz/F8xiG6t0AyZUedm8wsFUkK/img.png)
IT업종에서 전기업종으로 옮긴다면 참고 IT업종에서 전기업종으로 이직하려는 분들은 참고바랍니다. 저는 IT업계에서 5년정도 일하고 그만둔 후 전기직종으로 옮겼다가 다시 IT업계로 돌아온 사람입니다. 저의 경우 2007년에 IT계통에서 20대에 취업하여 식대포함하여 월급 100만원 받아가며 일했습니다. 한 달에 출장도 최소 15일 이상이었습니다. 이런 악조건의 열정페이로 일했고 30대 나이가 되면서 박봉문제도 있었는데 나중에 40대 미래를 생각하면 계속 이일을 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이 많았습니다. 수도권은 어떤지 모르겠으나 지방 쪽은 30대까지 엔지니어를 하다가 결국 영업으로 밀려날것이고 영업 실적이 나오지 않으면 결국 직장을 퇴사하고 치킨집 사장님이 되는 루트밖에는 생각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고민중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4p73K/btrBsuEevyS/xzueAuE3kyT96EgcJW4Up0/img.png)
발전소 전기직 현직의 후기 남0발전소 3년차 전기직 현직이 알려주는 발전소 업무 관련 정보입니다. 취업준비에 참고바랍니다. 1. 근무지 근무지는 밝히기는 어렵지만 오지근무입니다. 도시권에 가려면 최소 10년이상 근무해야하고 10년이상 근무해서 도시권에 가게 되더라도 10년 정도 후에 순환근무 해야 합니다. 신입으로 입사하면 입사 2년후에 사업소 이동은 가능하지만 원하는 곳이 수도권이라면 최소 10년은 마일리지를 쌓아야 가능할겁니다. 바닷가 근처라 할게 없어서 힘듭니다. 2. 업무 기술직은 전기, 기계, 화학 이 있습니다. 일근직은 감독, 정비, 사이드 업무로 나뉩니다. 감독은 유지관리, 공사, 설계를 맡고있고 정비는 직접 정비하는 일을 하고 사이드 업무로는 안전이나 공무, 품질, 감사, 시설 정도가 있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uFuor/btrBiH4JeRB/eCAhrbiCzE9F8FH0uyY9K1/img.png)
전기 공사 취업과 전기 시설 취업 에 대한 의견 전기 경력을 쌓기 위해 여러 전기 관련 업무들이 있습니다. 그 중 전기 공사 취업과 전기 시설 취업 중 어떤 곳이 좀 더 메리트가 있을지 다양한 분들의 의견을 모아보면 ① 일단 둘 중 하고 싶은 걸 하는 게 맞습니다. 돈을 좀 더 벌고 싶다면 전기 공사 쪽으로 가는게 맞겠고 돈 욕심을 조금 내려놓고 스트레스가 적은 곳을 원한다면 시설관리 건물 현장을 잘 찾아보시면 됩니다. 시설 관리 전기 쪽도 회사를 잘 찾아서 취업하게 되면 연봉도 어느정도 받을 수 있습니다. ② 몸은 좀 힘들더라도 발전 가능성이 있는 쪽을 선택하시는게 좋습니다. 저같은 경우 빌딩시설관리를 10개월 하면서 전기산업기사와 전기공사산업기사를 취득 한 후 전기통신소방 공사 업체에서 공무로도 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