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사람인
- 잡플래닛
- 전기 외선
- 초급감리 조언
- 전기직 공무원
- PLC
- 대학교 교직원
- 공장공무
- 시설관리
- 전기 설계 취업
- 전기공사
- ACSR 케이블 지락사고
- 주택관리사
- 강심 알루미늄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전선
- 자동제어
- 잡코리아
- CNCV케이블 지락사고
- 공무직
-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
- 자동고장 구분개폐기
- 감리 전망
- 건설 전기 취업
- 무경력 취업
- 다주택자 노하우
- 전기설계
- 전기직
- 전기안전관리자
- IRP
- 전기직 군무원
- 발송배전기술사
목록전체 글 (204)
전기나무숲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1uMY/btrzDOcVuFc/LKtkzBA8eoY8IjnWhRCFx1/img.png)
과일가게 창업하기(가락시장부터 사입) 과일가게 창업 후기 남겨봅니다. 저는 어릴적 사업 성공으로 돈을 조금 만져본 적이 있습니다. 그땐 돈 귀한줄 모르고 정신못차리고 살았네요. 항상 반성하고 살고 있습니다. 30대 후반이 되서야 제대로 정신차리고 제가 살 미래를 고민해봤는데 전에 사업을 오래 해본 경험이 있어 노하우는 있지만 전혀 다른 아이템으로 사업을 시작하는게 쉬운일을 아니더라고요. 오래 하려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아이템이어야 한다는 생각에 농산물에 대해 조사해보고 과일가게를 해보기로 결정했습니다. 과일가게를 시작하면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려고 마트나 과일가게, 가락시장 등에서 일해보며 조금씩 노하우를 쌓았습니다. 그렇게 3년을 일하고 드디어 창업을 시작했습니다. 가게를 차리면 모든게 끝날거라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zy54/btrzxxQZdd0/vC6rHHPlZD3EnKCD7LLQ6k/img.png)
공기업 연봉에 대한 생각과 현실 가끔 공기업에 대해 얘기를 하는 걸 보면 공기업이 돈을 아주아주 많이 번다거나 공무원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번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에 대한 팩트를 알려드립니다. (1) 공기업은 여러 종류로 나뉜다. 법적으로 공기업은 범위가 좁으나 보통 공기업이나 공단, 공공기관을 전부 공기업이라고 합니다. 공기업은 시장형과 준시장형으로 나눠지고, 공공기관은 위탁집행형과 기금관리형으로 나눠집니다. 시장형 공기업은 대표적으로 한국전력공사, 인천국제공항 등이 있고 준시장형 공기업은 LH 등이 있습니다. 공공기관에서 위탁집행형은 소비자원이나 장애인고용공단 등이 있고 기금관리형은 연금공단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은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연봉이 높습니다. 시장형 > 준시장형 > 기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x3Q2/btrzxyI3mhg/p9kcJnkVQMCABxv1Q7Ka71/img.png)
학원 강사 정년에 대한 생각 우리나라는 특이하게 나이가 많으면 잘 안 뽑아줍니다. 아이들이 싫어해서라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나이가 50에 가깝지만 아이들이 나이 때문에 저를 싫어하는 일은 전혀 없습니다. 나이 때문에 저를 어려워 하거나 그런 경우도 없고요. 초, 중등 수업을 하지만 초등 쪽 아이들과도 아무런 문제 없이 일하고 있습니다. 저와 함께 일하고 계신 동료 선생님도 50살이 훌쩍 넘으셨지만 문제 없이 일하고 계십니다. 일반적인 얘기가 아니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저와 같은 팀의 열명 넘는 선생님 대부분 40대 초중반 이상까지 일하고 있고 중학생도 가르치지만 나이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러면 어떤게 문제일까요? 제 생각에 우리나라 문화의 문제 입니다. 우리나라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mssF/btrzuVERdte/ukkwtJ4yiKPYSrHzH2bJk1/img.png)
건축학과를 가려면 고려해야 할 것 설계디자인, 건축가가 되는 걸 꿈꾸는 분들이 건축학과에 지원하기 전에 알면 좋은 글 입니다. 서울의 ㅎㅇ대 건축학과에 다니는 분의 경험담입니다. 참고바랍니다. 5년제건축학과는 모두 건축가 양성이 목표입니다. 즉 건축가가 되는 게 목표가 아닌 사람이 건축학과에 가는 건 가성비가 아주 좋지 않습니다. 그럼 건축학과에 가려면 어떤 조건이 있으면 좋은 지 알아봅시다. (1) 집안에서 오랜시간 지원을 받을 수 있는가? 나중에 사무소를 차릴 수 잇는 정도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가? 10년 가까이 부모님에게 지원을 받을 수 있는가? 물려받을 재산이 어느정도 있는가? 학부때도 너무 바빠서 학점에 욕심이 좀 있다면 한 학기중에 한 달가량은 의식주가 제대로 안 될정도 입니다. 제가 한 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W0G6/btrzpagZIcv/gGSD8Wtg735sNE4vKq9v51/img.png)
프로그래밍으로 취업 괜찮을까? 프로그래밍은 한 분야만 있지 않습니다. 앱, 웹, 게임 등 정말 세부적으로 분야가 아주 넓습니다. 프로그래밍이 대세라고 하고 4차산업혁명, AI시대 등 일자리가 많아진다는 말이 많고 사실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프로그래밍 공부를 해야겠다고 마음 먹으시기 전에 가장 먼저 생각하셔야 할 것은 내가 어떤 분야를 하고 싶은가? 무엇에 관심이 가냐 입니다. 제 생각에 프로그래밍은 적성이 아주 중요합니다. 그래서 적성에 맞지 않다면 아주아주 힘들고 고통스러운 일입니다. 그러면 프로그래밍 취업의 특징에 대해 몇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1) 프로그래밍 쪽은 신기술이 계속 나오는데 계속 공부를 해야 할까? 정말 이쪽 분야는 매일매일 신기술이 나오고 개발언어가 나오기 때문에 공부를 끊임없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zaTk/btrzcTN61B1/a9HVzhI2K20AcTwpK5Wpl0/img.png)
건축학과 졸업, 취업 후 성공적으로 일하는 경우 건축학과 졸업 후 성공적으로 취업해서 일하고 있는 10%는 어디에 있을까? 먼저 건축가라고 하면 건축설계디자인을 해서 건축허가를 받는 일을 하는 분들입니다. 규모에 따라서 시공업체나 감리업체를 낄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습니다. 시공, 개발업, cm에 종사하고 있는 경우는 건축가라고하지 않습니다. 직군을 Engineer, Developer 라고 합니다. 건축설계 분야에서 성공하신 분들은 없을까? 그 10% 분들은 자신의 일을 만족하며 살고 계실까요? 가정생활은 잘하고 계실까요? 제 주변을 보면 40대가 지나면서 건축가들은 세가지 그룹으로 나눠집니다. (1) 독립해서 자기사업체를 하는 경우 건축사를 따고서 그동안의 인맥으로 설계일을 하주받아서 일을 하는 경우 입..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6U58/btrzbfcLWJ2/w1lydfAYRl1270krJrm590/img.png)
전기기사 취득 후 시설관리에 대해 전기기사 취득 후 첫 시작의 발을 어디에 담그느냐에 따라서 정신, 몸의 힘듦과 급여의 차이가 생깁니다. 저도 자격증 취득 후에 서른살에 전기 쪽으로 진입을 했는데 첫 발을 시설관리(이마트 시설관리팀)에 발 들였습니다. 첫 발을 시설관리로 가다보니 아직도 시설관리 일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공기업 소속 전기안전관리자로서 일하고 있습니다. 시설관리 중에서도 괜찮은 공기업이나 중견기업 이상의 업체로 취직을 하시게 되면 안정적이기도 하고 어느정도 자기계발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전기공사 분야에서 일하는 분들에 비해서 급여는 대체로 작습니다. 저는 주말이나 공휴일의 경우 무조건 쉬면서 투잡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느정도 전기공사쪽에서 일하는 분들과의 급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Q5XON/btry5DyaGm1/PXDUQxkDNLGblLfnktKFDK/img.png)
전기기사 취득 후 설계 분야 취업 설계 (전기설계, 수변전설계) 전기의 큰 그림을 그리겠다면 설계쪽이 좋습니다. 하지만 박봉과 야근에 시달리셔야 합니다. 물론 경력을 쌓으면서 상위 회사로 이직하면 급여는 해소가 될겁니다., 설계 경력은 나중에 다른 직종에 가더라도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전기설계 = 수변전설계 에서는 전기설비들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설계하는 일을 합니다. 예를 들면 고압설비들을 선정하고 판넬배치, 케이블 굵기, 차단기 용량 선정, 부하계산, 변압기 용량 선정, 부하계산, 조명기구 배치와 같은 일을 합니다. 또한 각종 계산서와 도면, 내역서를 작성하는 일을 합니다. 전기기사를 취득하셨다면 거기에서 취득한 내용의 70% 이상이 매치가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론 전기공사기사에서의 자재나 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