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나무숲

시설관리에서 전기현장으로 간 경험자 이야기 본문

취업정보/전기현직후기

시설관리에서 전기현장으로 간 경험자 이야기

전기나무 2022. 3. 2. 00:05

시설관리 현장전기 경험자 이야기

 

현직 선배님의 글입니다. 현장 업무를 아는데에 참고하셨으면 합니다.

전기현장 업무

시설관리나 전기 현장 업무에 대한 궁금증과 고민이 있으신 분들이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부족하지만 제 생각과경험을 나누니 후배님들께 도움이 됐으면 하네요.

저는 학번으로 치면 대학교 92학번. 당시 imf나 군복무 등 여러 시험을 준비하고 어쩌다보니

소개를 통해 시설관리에 알바처럼 들어갔는데 그게 여기저기 옮기다보니 15년이 흘러갔습니다. 

초반에 시설관리 용역업체들의 실태에 실망하다가 이후에 대기업군 자리로 이동해서 10년정도를 일했습니다. 

 

아쉬운 것은 맨날 자격증이 그리 어려운 건 아니라고 공부만 하다가 그만둔게 안타까웠는데 

맨날 그만둘거다, 다른 기회가 찾아올가다 라는 망상, 무계획, 허송세월들이 겹치며 하루하루가 그냥 가고 한달이 1년이 되고 그게 10년이 넘어가면서 저도 나이만 먹었습니다. 

저와 같은 분들이 있을거라 봅니다. 막연한 희망, 공부한다고 핑계로 아직도 모니터안의 온라인에서 시간만 잡아먹는 분들이요.. 

그렇다고 최선을 다하지 않은 것도 아니고 시설관리 분야의 분야도 다르고 맡은 책임은 각자 열심히 하고 내가 가진 장점과 성실함을 발휘하여 최선을 다해보기도 했지만 운이 따르지 않았는지 성과는 없었습니다. 

나이 40대 이후를 준비하니 노후대비도 걱정되고 회사의  경영악화 핑계로 퇴직이후에 공사 현장에 발을 디뎠습니다.

 

삼촌이 어릴적부터 전기기사를 독서실에서 공부한 걸 직접 보았고 나중에 건설사에 있으면서 공부를 하며 감리등 업무도 보다가 기술사도 취득한 사실이 생각나서 삼촌에게 인생상담을 받아보았습니다. 

삼촌이 니가 현장에서 6개월만 버티면 인정을 해준다길래 한 번 해봣습니다.

영하 20도 그해 겨울이 아주 추웠던지 안전화 앞에 쇠가 있는데 그게 얼어서 발을 자르고 싶을 정도로 고통스럽더군요

그게 현장의 첫 시작이었습니다.

 

당시에 공수가 뭔지 몰라서 찾아본 기억이 납니다.

공사현장에서는 하루일당을 1공수로 부릅니다. 대개의 경우 주 6일을 일하는데 

야간 2시간 정도를 일하면 추가로 0.5공수 추가돼서 야근을 한 날을 1.5공수가 되는 방식입니다.

한 달 보통 야근없이 25 공수를 평균으로 하면

초짜 조공의 경우 11~13만원 해달 월의 공수를 곱해서 한 달치 급여가 지급됩니다.

물론 품셈이라는 공식이 있지만 조공 - > 준정공 -> 전공 의 레벨은 하루아침에 올라가는 게 아닙니다. 

그래서 결국 최단기 전공으로 5년이상을 버텨야 전공단가로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사 임금은 품셈이 기준이 되지만 실제로는 팀장이란 하청조직을 통해 전기소장이 분야별로 하청을 주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팀장들은 레벨별로 정식 단가에서 얼마를 제외하고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서울이든 지방이든 이러한 하청방식의 팀장의 일명 똥떼기는 어찌보면 하청업자 개념으로 보면 정당할 수 있겠지만

정작 보인들 초짜들에게는 부당하다고 생각 해서 가끔 신고하거나 먹튀하는 친구들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개인사업자로 팀장이 등록해서 하청을 공식화해서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결국엔 처음 진입하는 신입분들은 몇년을 고생해서 레벨업 하기 전까지는 알바나 최저임금에 준하는 급여를 받게 됩니다.

 

대량 이러한 도급 구조가 정착해서 기술로 밥먹고 살자고 뛰어드는 분들은 좋은 사수를 잘 만나야 기술적 이해도가 어긋나지 않고 여러 인맥과 개인으 ㅣ목표에 따라 진로가 다양해지는 경우의 수로 나뉩니다.

현장의 미래전망고 ㅏ여러 사업아이템이나 연관된 진출경로가 많아 지겠죠

전기나 전기소방이나 기타 여러 분야의 다양한 진출경로나 확장되는 기회가 생기는데 이런 연결고리는 스스로 인맥이나 기회를 통해 잡아야하고 그건 직접 현장에서 일하면서 스스로 개척해야하는 부분입니다. 

 

그러면 전기공사현장이 얼마나 힘들지 궁금하죠?

시간되면 전기품셈표를 한 번 보세요. 나중에라도 저장해서 한 번 보면 이해가 될겁니다.

품셈표를 보면 전기에 한정된 분야가 얼마나 많은지도 알게 될거고 

소방전기도 마찬가지인데 점점 하청문화가 발전하면서 부분별로 떼어주는 공사방식이 이제 정착했습니다.

소질이나 기회비용에 따라 돈을 잘 벌 수도 있는 부분인데 그건 직접 보고 생각하고 뛰어들면 공사현장에서 돈을 벌 수 있는 방법도 정말 많다는 걸 아시게 될겁니다. 

 

저는 시설관리 경험이 있어서 공구든 현장 구조든 적응하는데는 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처음 시작할 때 추위 때문에 아주 힘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하루종일 추운 현장에서 서서 일한다는게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현장을 더 배우기 위해 골조현장에서 몇달을 일하는 과정에서는 형틀목수라 하는 갱폼을 조립하고 분해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본적있는데 그들이 사고가 나서 끔찍했던 장면도 보고 미끌미끌한 슬라브에서 전기박스를 박던 기억도 나네요

여름에도 바람이 전혀 통하지 않는 공간에서도 일해야 합니다.

그냥 움직이지 않아도 땀이 바지까지 흘러내리는 더위속에서 일해야 하는 어려움도 있습니다

지난 여름엔 소방공사를 하면서 하론가스 결선작업을 하면서 지갑에 곰팡이가 생기도록 습한 여름을 지나 지갑을 버리기도 했네요 . 이처럼 추위나 더위, 소음과 먼지, 그리고 위험한 작업환경, 생것에 그대로 노출되게 됩니다.

그런걸 버텨내야 합니다.

활선작업등이나 전기실에서 입상연결되는 거대한 스퀘어의 전선에도 항상 무방비 상태로 감정등에도 안정장치 없이 항시 노출되어 있습니다. 발견하고 피해야할 집중은 본인이 알아서 해야하고요.

 

시설관리 하시는 분이 공사현장에 발을 들이면 인내하고 버텨내기가 쉽지 않을겁니다. 

차라리 돈을 덜받고 알바라도 해서 부족한 돈을 메운다는 생각을 많이 하실텐데 이건 제가 위에서 얘기했듯이 

고민만 하다가 10년이 후딱 지나가는 경우가 많을겁니다.. 자기 직무분야에서 벗어나는 건 한국에서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어쩌면 시설관리에서 일하는 분들중에도 미래비전에 대해 고민하고 힘들지만 분야별(품셈별로 공정)로 기술비전을 생각하며 사업플랜을 생각하시는 분들은 공사현장에 가도 잘 버티실거라 생각합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지금은 시설관리직이 최저임금을 적용받아서 3천이상은 받는다고 들었는데 

공사현장 기술직무에 들어오면 위에 계산방식에서 말씀드렸듯이

만약 초보로 대충 13만원 받는다면 한달 급여는 25공수 기준 세전 325만원입니다. 

실력있거나 인맥으로 15만원을 받는다고 해도 25공수 기준 세전 375만원입니다.

현재 안주하거나 그냥 시설관리에 만족하시는 분들은 그대로 자리 잡으시면 되고 

뭔가 다른 기회를 찾고 싶으시면 그 공사현장에서의 과정을 버티며 비전을 만들어가면 새로운 방향으로 진입가능하실 겁니다.

코로나 이후에 산업이 어떻게 변화할지는 모릅니다. 대충 방향성을 예측하면서 현실에서 선택한 진로를 따라가다보면 다른길이 열릴거고 그 다음길에서 여러갈래으 ㅣ길을 선택하실 수 있을겁니다.

물론 시설관리에서도 나만의 특화된 장점계발로 다른 시장을 발견하면 다른 좋은 길을 발견할 기회도 얻으실 겁니다.

 

추가로 제 생각을 말하자면

스스로에 대해 치밀히 고민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같은 경우 저를 과대포장해서 제가 가진 성분에 대해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았고 도피했던것 같습니다.

현실이 녹록치 않고 항상ㄱ 힘들고 고단한 일상의 반복이라서 매일 고민을 하지만 맨날 미루기만 하고 회피했던 것 같습니다. 막연히 다른 기회가 열리고 다들 나를 알아줄거라 생각했지만 시간만 가더군요.

스스로 그릇이 어떠한지, 현실이 어떠한지, 내 좋은 성격과 나쁜 성격, 장점과 단점, 바꾸려해도 불가능한 선천적인 성격과 행동들. 이 부분을 정확히 파악하고 미래를 개척해 나가셨으면 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