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공무직
- ACSR 케이블 지락사고
- 사람인
- 전기 외선
- 발송배전기술사
- 잡플래닛
- 전기안전관리자
- CNCV케이블 지락사고
-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
- 건설 전기 취업
- 초급감리 조언
- 강심 알루미늄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전선
- 다주택자 노하우
- 주택관리사
- 전기직
- 시설관리
- IRP
- 전기설계
- 전기직 군무원
- PLC
- 자동고장 구분개폐기
- 잡코리아
- 무경력 취업
- 대학교 교직원
- 자동제어
- 감리 전망
- 전기공사
- 전기 설계 취업
- 공장공무
- 전기직 공무원
목록전체 글 (204)
전기나무숲

전기기술사 자격증에 대한 생각(발송, 건축, 소방) 발송배전기술사, 건축전기기술사는 합격하고 소방기술사 준비중인 분의 기술사자격증에 대한 생각 (1)발송배전기술사 (2)건축전기기술사 (3)소방기술사 (1) 발송배전기술사 가성비가 상당히 좋은 기술사 자격증이라고 생각합니다. 상당한 이해도가 필요하나 암기분량은 건축전기기술사나 소방기술사에 비해 적습니다. 보통 발송배전기술사 하면 계산문제라고 생각하시는데 계산문제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건축전기기술사와 비슷한 정도입니다. 발송배전기술사의 가장 큰 장점은 법규와 크게 관계가 없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바뀌는 법규에 따라서 매년 서브노트를 갱신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공부해야 되는 책들이 코스별로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런점을 고려해봤을 때 위의 세가지 자..

건축 전기 설계 CAD 취업하면 하는 일 건축 전기 설계 CAD 쪽으로 취업을 하게 되면 무슨일을 하게 될까? 건축에서 전기쪽 설계를 하게 되면 무슨일을 하고 업무강도는 어떤지 간단하게 알아보자. 인입부터 고압 수변전 분전반 간선 다 하게 됩니다. 그러려면 계산서 작성도 할 줄 알아야 합니다. 조명, 전열, 동력, 전력간선, 전기실, 기계실 다 해야합니다. 하물며 건축전기 하면 통신, 전기소방까지 도면을 그려야 합니다. 따라서 설계 사무실에 있으면 배울것도 많지만 아주 방대한 양의 도면을 납품내에 쳐야하기 때문에 매우 바쁘기도 하고 야근도 많이 하게 됩니다 그냥 지금 사시는데나 주위에 건물에 있는 전기, 통신, 전기소방 다 설계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전기, 통신만 하는 회사도 있지만 전기 소방 포함 다..

전기 취업할 수 있는 분야 5가지 전기분야는 취업할 수 있는 분야가 여러가지 있다. 전기 취업할 수 있는 분야가 어떤 것이 있는지 5가지를 알아보자. (1) 전기설계 자격증? 그런거 필요없이 컴퓨터 하나 할 줄 알면 됩니다. 가면 어차피 처음부터 다시 배웁니다. 학원에서 CAD 배우면 조금 더 빨리 배울수는 있습니다. 전기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배우면서 일할 수 있습니다. (차후에 감리 또는 건설사 저기직으로 이직 또한 할 수 있습니다. 전기현장 공무나 샾으로 이직도 가능합니다.) 장단점 : 야근이 너무 많고 박봉이며 초반에 멘탈이 견디기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옆에서 잘 알려주는 분이 계시면 기초를 쌓기에는 아주 좋은 환경입니다. (2) 전기감리 건설현장에서 전기, 통신, 소방 등 시공할 때 도..

설비보전관리자 하는 일에 대해 알아보자. 현직자가 직접 겪어본 설비보전관리일 입니다. 취업 준비시 참고바랍니다. 저는 지잡대 4년제를 졸업했습니다. 1학년때는 놀고 2학년때 부터 학점관리를 시작해서 대기업 지원 커트라인 3.5점을 만들고 졸업합니다. 졸업하기 전 한 학기 남겨두고 전기기사, 토익, OPIC 준비한다고 1년 휴학했는데 영어점수는 어느정도 만들고 전기기사는 필기만 합격한 상태에서 지원을 시작했습니다. 졸업할 때 쯤에 대기업에 다 지원해봤습니다. 광탈에 광탈을 반복하다가 공채 막바지 즈음에 대기업과 중견기업 사이 1000대 기업에 취직합니다. 그때 취칙한 직무가 설비보전관리자였습니다. 설비보전관리자에 연봉은 박봉이었습니다. 연봉이 적어서 고민을 하긴 했지만 그냥 출근하기로 합니다. 수전용량이 ..

자동제어 업계 선배님의 업무 경험 (PLC) 현직 선배님의 글입니다. 현장 업무를 아는데에 참고하셨으면 합니다. 전기계열 중 자동제어 분야에서 근 10년 넘게 일한 사람으로써 자동제어가 어떻다 서술해볼까 합니다. 진로를 고민하는 분들에게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고 주관적인 글이니 차이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저는 대학교 2학년때 취업으로 2007년 기준 격주 주6일 한달에 5번 토요일 중 2번의 토요일 근무하는 회사로 입사했습니다. 그때만해도 소기업은 주5일이 아니었ㅅ습니다. 기본월급은 세후 130만원정도였고 1년 다니고 145만원으로 늘었네요. (출장을 제외한 비용) 근데 야근과 출장이 엄청나게 많아서 월 190~220씩 받았습니다. 그땐 세상물정을 몰라서 그냥 주는대로 받고 계산도 안해봤어요. 야근비나 출..

시설관리 현장전기 경험자 이야기 현직 선배님의 글입니다. 현장 업무를 아는데에 참고하셨으면 합니다. 시설관리나 전기 현장 업무에 대한 궁금증과 고민이 있으신 분들이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부족하지만 제 생각과경험을 나누니 후배님들께 도움이 됐으면 하네요. 저는 학번으로 치면 대학교 92학번. 당시 imf나 군복무 등 여러 시험을 준비하고 어쩌다보니 소개를 통해 시설관리에 알바처럼 들어갔는데 그게 여기저기 옮기다보니 15년이 흘러갔습니다. 초반에 시설관리 용역업체들의 실태에 실망하다가 이후에 대기업군 자리로 이동해서 10년정도를 일했습니다. 아쉬운 것은 맨날 자격증이 그리 어려운 건 아니라고 공부만 하다가 그만둔게 안타까웠는데 맨날 그만둘거다, 다른 기회가 찾아올가다 라는 망상, 무계획, 허송세월들이 ..

공무원 시설관리 현직의 글 같은 직렬 준비하는 분들이 궁금해 할만한 것들이 충분히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오늘부터 시설관리직 접수인 것 같은데 카더라, 뇌피셜이 난무하길래 보는 입장에서 안타까워 팩트 위주로 정보글을 쓰려고 합니다. 참고바랍니다. 꽤 많은 사람들이 기술직이랑 기능직을 구분하지 못합니다. 기술직은 기술행정 업무를 하는 직렬이고 기능직은 기능업무를 하는 직렬, 즉 공무원계의 정비공, 기능공입니다. 예전에는 기술직과 기능직에 구분이 있었는데 2000년대 들어서는 기능직이 사리지고 공업직으로 통폐합됐습니다. 기존의 기능직은 관리운영직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지금 제가 근무하는 곳도 전체 인원의 80% 정도가 관리운영직입니다. 우선 저는 공업직직이지만 점차 퇴직하는 관리운영직의 빈자리를 채우..

시설관리 처음 입사시 해야 할 것들(2) 앞서서 시설관리 분야별 해야할 일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시설관리에 처음 입사하는 분들이 제일 먼저 해야하는 것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시설관리에 처음 입사하게 되면 해야하는 업무를 정리하자면 먼저 해당 현장의 건물 옥상부터 지하층까지 건물 구조를 파악해야 합니다. 각 층 별로 어떤 특이시설이 있는지 파악하고 메모해두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기존 근무자들과 처음에 같이 움직이면서 업무 처리하는 요령을 파악해야 합니다. 일지작성하는 요령, 전화응대하는법 등을 옆에서 배우고 창고에 어떤 자재들이 있는지, 어떤 위치에 있는지 잘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또한 건물의 특징을 잘파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계단실이 몇군데 이고 각 계단실의 명칭은 어떻게 되고..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