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전기직 공무원
- 잡플래닛
- 전기 외선
- 건설 전기 취업
- 대학교 교직원
- CNCV케이블 지락사고
- 잡코리아
- 전기직
- 공무직
- 초급감리 조언
- 시설관리
- 공장공무
-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
- 사람인
- 전기직 군무원
- ACSR 케이블 지락사고
- 자동제어
- 전기설계
- 무경력 취업
- 주택관리사
- 발송배전기술사
- 다주택자 노하우
- 감리 전망
- PLC
- 전기 설계 취업
- 강심 알루미늄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전선
- 전기안전관리자
- 자동고장 구분개폐기
- IRP
- 전기공사
전기나무숲
주식거래 3분류(개인,기관,외국인)와 주식 시작하는 법 본문
주식거래 3분류(개인,기관,외국인)와 주식 시작하는 법
1. 주식거래 3분류(개인,기관,외국인)
2. 주식 시작하는 법
3. 주식 매수,매도 방법
1. 주식거래 3분류(개인,기관,외국인)
주식시장에서 거래 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크게 3분류로 나눠진다.
(1) 개인
그냥 우리 같은 개인들이다.
많은 개인들이 아주 작은 돈으로 투자를 한다. 그래서 우리와 같은 개인들을 개미라고 자주 표현한다
(2) 기관
기관은 일반인들에게 돈을 모아서 대신 투자해주기도 하고
국민연금같은 연기금, 보험사, 증권사, 은행 이런 회사들이 투자하는 거 기관투자자라고 말한다.
개인에 비해서 기관이 아주 많은 돈으로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을 알 수 있다.
(3) 외국인
외국에 사는 사람도 한국 주식에 투자를 할 수 있다.
옛날에는 한국이 외국에 자본시장을 개방하지 않았었는데
92년도 부터 조금씩 개방을 시작했다. 그러다가 IMF가 터지고 난 이후에 우리가 주식시장을 완전 개방하게 된다.
현재기준으로는 외국인이 우리 주식시장에 3~4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서 보면 알 수 있듯이 개인은 적은 돈으로 투자하고
기관이나 외국인이 큰 돈으로 투자하기 때문에 기관이나 외국인이 주식 값을 쥐락펴락 할 수 있는 걸 볼 수 있다.
그래서 외국인이나 기관이 팔면 떨어지고 사면 오르는 경우가 많다.
외국인이 살때 따라서 사고 팔때 따라서 파는게 좋다.
그런데 보통은 반대로 움직인다.
외국인이 팔면 개미들이 다 주식을 받아내서 사고
외국인이 살때 개미들이 다 주식을 판다.
어쨋든 이런 덩치 큰 기관과 외국인의 흐름을 같이 따라가는 게 중요하다. 여기서 삐끗하면 손실을 많이 입을 가능성이 올라간다.
2. 주식 시작하는 법
주식을 사고 파는데는 시간이 정해져있다
정규시장은 오전 9시에 열어서 오후3:30분에 마감한다.
주식투자를 하려면 제일 먼저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계좌를 만들어야 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은행 거래 계좌로는 주식을 살 수 없고
주식투자를 하고 싶으면 증권회사에 주식 거래 계좌를 만들어야 한다.
처음으로 주식거래계좌를 만들 때 생각해봐야 할 건 주식거래수수료다.
주식을 거래할 때 수수료가 발생하는데 이건 증권사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잘 알아보고
수수료가 작은 증권사가 있다면 그쪽으로 가입하는게 유리하다.
증권사들이 이벤트도 자주해서 좋은 이벤트 하는 곳으로 선택하는 것도 방법이다.
3. 주식 매수,매도 방법
계좌를 만들고 나서 주식거래하는 방법은 아주 단순하다.
증권사 어플에 들어가서
사고 싶은 종목을 검색 후 매수하고 싶은 수량을 입력한 후 매수하기 버튼만 눌러주면 매수 끝이다.
팔고 싶은 종목도 매도하고 싶은 수량을 입력한 후 매도하기 버튼만 누르면 팔 수 있다.
'유용한정보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을 처음 시작할 때 기초를 공부해보자. (0) | 2023.03.05 |
---|---|
주식 초보 종목을 매수하기 전 생각해봐야 할 것 (0) | 2023.03.05 |
주식 기초에 대해 공부해보자.(주식, 채권, 상장, 시장 등) (0) | 2023.03.04 |
저금리 시대에는 일반통장보다 파킹통장이 유용하다. (0) | 2023.03.03 |
퇴직연금제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