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시설관리
-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
- 건설 전기 취업
- 다주택자 노하우
- 전기 외선
- 전기공사
- 발송배전기술사
- PLC
- 강심 알루미늄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전선
- 사람인
- 자동제어
- 전기설계
- ACSR 케이블 지락사고
- 전기직 군무원
- CNCV케이블 지락사고
- 대학교 교직원
- 전기직
- 전기 설계 취업
- 공무직
- 전기안전관리자
- 무경력 취업
- 잡코리아
- 감리 전망
- 공장공무
- 주택관리사
- IRP
- 초급감리 조언
- 전기직 공무원
- 자동고장 구분개폐기
- 잡플래닛
목록분류 전체보기 (204)
전기나무숲

모터의 코일 소손은 어떻게 확인하나? 1. 문제상황 모터가 동작을 안하면 코일 소손을 의심하게 되는데요. 380v 3상 전원을 사용중인데요.. 코일 소손을 저항값으로 체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2. 해결법 (1) MOTOR의 소손은 절연저항과 COIL저항을 측정하여 확인을 합니다. 저항 측정은 델타결선일때는 전원측에서 MOTOR로 가는 LINE R, S, T선간을 측정하여 저항값이 같게 나와야 합니다. Y결선일때는 MOTOR COIL 1과 4, 2와 5, 3과 6의 저항을 측정하여 저항값이 같으면 됩니다. 만약 다르게 나오면 직접 MOTOR 단자함에서 결선을 해체하고 MOTOR COIL만 다시점검하여 MOTOR와 CABLE 어느쪽의 단선인지 구분 하여야 합니다. 이상은 COIL의 단선유무를 측정하는..

전기실 정전, 복전 순서에 대해 알아보자. 참고로 설비별로 정전방법이나 순서가 다를수 있으니 자신의 설비에 맞는 방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정전준비 정전시 문제될수 있는부분은 사전에 차단하세요 주차게이트미리 올려두시고 차못나가요 CCTV미리꺼두시고 카메라기판 자주 나가요 ELEV와 주차타워는 미리 잡고 꺼두시고 부스터펌프미리꺼두시고 고장나면 세대 물 안들어가요 가끔 ATS절체시 기판나가는 경우 있거나 프로그램 에라생길수 있음 복구하는데 시간 많이걸려요 2. 부하차단은 일반 MCCB부터 그다음은 비상용 MCCB 이때 지하전기실 MCCB전등만 켜둡니다 모든 MCCB차단 일반 ACB차단 마지막 비상용 ACB 차단 그럼 이때 모든 전기가 나나고 DC등 정도만 들어 옵니다 분기 VCB차단 그담에 메인 VCB..

EOCR 교체 후 전류값 설정하는 방법 1. 문제상황 펌프 TRIP이 되지 않는 상황에 EOCR교체 후 설정값을 정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2. 방법 (1) 지금 설정되있는 값보다 작게 해서 해보고 최소로 했는데도 안되면 이오씨알 갈아 보고 그래도 안되면 펌프가는 순으로 해야할거 같은데요 일단 부하전류측정해보고 정격과비교해보고 eocr설정치와 맞추다가 오차가크게나면 바꾸세요 모터자체의문제점도 확인해 보시고... EOCR 전선통과 부위를 한번더 감아서(2턴으로) 전류값을 설정해 보세요. 측정치의 2배가 감지되니 설정값도 반으로 나눈 값이라는 것을 명심하구요. (2) 현장에서 일을 하다보면 모터류의 부하가 굉장히 많은것을 느낄수 있으며 모터를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EOCR 또는 THR등등 을 많이 접하게 ..

3상모터 전류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원인 1. 문제상황 모터(3상 380V, 11kw, 정격전류 23A ) 업체에서 모터 수리(모터소손)하여 취부, 결선 후 무부하 시운전을 하였습니다. 해당 모터판넬 메인차단기 2차측에서 후크메타로 측정했는데 무부하 전류가 R:4.3A S:8A T:8A 나옵니다. 수리업체는 테스트시 3상 고르게 전류가 나왔다고 하고, 결국 다시 수리업체에서 가져가서 테스트 했는데 3상 전류가 잘 나온답니다. 그럼 저희 쪽 어딘가의 문제가 있는건지?? 기본적인 와이-델타 기동방식 판넬입니다. 콘덴서 연결되어 있고.. 2. 원인예상 (1) 콘덴서가 장착된 경우,, 어디서 전류 측정을 하느냐에 따라 전류값이 틀려집니다. 보통콘덴서는 전자접촉기 후단에 거는데, 모터측 전류가 8A가 나왔다면, 전..

접지선에서 누설전류가 많이 측정되는 경우 1. 문제상황 이십년이 넘어서 노후화가 진행중인 현장인데요 변압기에 R S T N 상중에 N상에 접지선에 큰 값의 누설 전류가 뜹니다 2. 원인 찾기 (1) 먼저 부하쪽 중성선을 확인 해 보세요. 중성선은 전력선입니다. 부하가 불평형이 되면 중성선으로도 전류가 흐릅니다. 누설전류가 접지에 그렇게 많이 흐른다는것은 부하쪽 중성선이 접지가 되어 있는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중성선 접지는 변압기에서만 접지를 하여야 합니다. 그런데 부하쪽에서도 접지를 시키면 중성선으로 흘러야할 전류가 접지선으로도 나누어 흐르기 때문입니다. (2) 일단 저 전원라인을 차단해도 괜찮다면 잠시 전원을 내리고 다시 접지선(제2종접지선)의 전류를 체크해 보세요 전원을 내렸을때 접지선의 전류도 없..

건물 변압기에 화재가 발생한다면 조치는? 1. 문제상황 시설 전기안전관리자로서 시설의 변압기가 터지거나 고장이 났을 때 어떤 절차로 일을 처리해야 하는지? 2. 경험 및 방법 (1) 한전에 신고부터 책임분계점 오픈 소손변압기 획인 변압기 소손 충격으로 대부분 매인전력퓨즈 나감 mof도 고장확울높음 메거로 절연상태 점검 고장이면 한전 입회하에 직결 가능 함 평소 변압기 부하에 따라 소순된 변압기부하 건전한 변압기에 접속 할경우도 있슴 한전에 도움요청 하면 변압기 임시 빌려줌 변압기가 여러개일경우 조치후 건전한 변압기는 통전 해야 민원이 그나마줄어들겠지요 휴즈예비품은 있었고요 변압기는 대여하지 않고 건전한 변압기에 접속 하고 변압기 수배해서 교체 하는데 3일 걸렸ㅂ습니다 변압기는 아파트 건설사에 연락하여 신..

22.9kV 특고압 케이블 피복 만지면 감전되나? 1. 문제상황 수배전실 판넬안에 22.9kV CNCV-W 케이블이 있습니다 활선인 상태에서 충전부와는 30cm이상 이격거리두고 한 상의 케이블 피복을 만지거나 또는 두 상의 케이블 피복을 동시에 만지거나 하면 바로 감전인가요? 2. 의견 (1) 22900kv 케이블, 같은경우 주변 전계 형성되어 있어서, 케이블 주변 50cm~1m 간격 으로접근해야한다고 합니다, 가까이가지말라더군요 전기안전공사 35년근무 하신분께서 말씀하셨네요, 가까이가면 감전 혹은 몸에 좋지않다고 하셨어요, (2) 케이블헤드 같은 충전부에 접촉 및 근접은 절대 안되지만 포설된 케이블은 감전되지는 않습니다. 케이블 트레이가 금속인데 감전되면 안되겠지요. (3) 절연 및 접지가 제대로 되있..

몰드변압기의 온도와 소음에 대한 질답 몰드변압기(750kVA~2000kVA) 사용시 온도에 따른 상황 1. 지하 전기실에서 사용하는 몰드변압기를 한여름에 급배기휀 안 틀어줘도 피크온도가 55~56도였습니다.(환기 안함) 그러면 저희 변압기가 좋은 건가요? 아님 용량에 비해 사용량이 적었거나 충분히 넉넉했던 것일 뿐일까요? 권장제한온도는 보통 몇도인가요? - 변압기는 절연종별에 따라 허용온도를 판단하셔야 합니다. 몰드변압기 절연종별은 보통 F or B종 입니다. F종은 155도/ B종은 130도 이고요 권선온도가 55도 이고 절연종별이 B종이라면 130도이니 발열에 대한 여유가 많이 있습니다.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사업장 특성에 맞게 온도지침을 설정하시어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2. 변압기는 전력사용량(부하..

전계와 자계의 차이 전계=전기장 : 전기력이 작용하는(미치는) 공간이며 +전하와 -전하 사이에 작용 전기를 띤 물체 주위에 전기 작용이 미치는 공간 예) 책받침을 문질러 머리카락이 붙는 실험 - 전계 자계=자기장 : 자기력이 작용하는(미치는) 공간이며 N극과 S극 사이에 작용 전류가 흐르는 도체 주변에 형성 예) 책받침 위에 쇳가루를 뿌리면 쇳가루가 N,S극 모양을 형성 - 자계 상호 관계 : 자기장은 전류를 생성 - 코일 주변에서 자석을 움직이면 코일에 전류가 흐름(패러데이의 전자유도) 전류는 자기장을 형성 - 못에 코일을 감고 전류를 흘리면 못은 전자석이 됨 전기장(전계) : 전기력이 미치는 장(Field) 즉 공간에 대한 함수로 정의됩니다. 전기장은 전기력과 다르게 여러 전하를 표현할 때 훨씬 유용..

3상 모터 트립시 원인 및 현장조치사항 모터 과전류 트립시 1.사용 중 트립이 된거라면 부하쪽 물리적 부담으로 트립 될 가능성이 있다. 2.물리적 과중, 이물질걸림, 베어링상태, 기어, 벨트 등 육안으로 체크해본다. 3.분전반에 차단기, 마그네트 손상여부를 확인하고 인버터가 있으면 에러코드를 확인한다. 4.분전반 체크 후 차단기를 OFF하고 현장에서 모터의 상태를 확인한다. (전선/피복 상태, 단자상태, 절연상태) 5.절연 체크는 모터의 정확성을 위해 모터의 결선을 풀고 진행한다. (1-4,2-5,3-6 도통, 1-접지,2-접지..6-접지 절연) 전원을 차단하고 모터를 손으로 돌려보는것도 괜찮고요. 베어링 상태나 축비틀림, 로터마찰 상태 등을 체크할수 있겠네요 모터 전압체크후 전압이상하면 모터 고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