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동고장 구분개폐기
- 사람인
- 잡플래닛
- 공장공무
- 발송배전기술사
- 자동제어
-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
- 초급감리 조언
- 전기 외선
- 감리 전망
- 무경력 취업
- 건설 전기 취업
- 전기직
- 시설관리
- ACSR 케이블 지락사고
- 주택관리사
- 전기안전관리자
- 전기직 군무원
- 전기공사
- CNCV케이블 지락사고
- 대학교 교직원
- 잡코리아
- 전기설계
- 전기직 공무원
- 전기 설계 취업
- 강심 알루미늄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전선
- 공무직
- 다주택자 노하우
- IRP
- PLC
전기나무숲
22.9kV 특고압 케이블 피복 만지면 감전되나? 본문
22.9kV 특고압 케이블 피복 만지면 감전되나?
1. 문제상황
수배전실 판넬안에 22.9kV CNCV-W 케이블이 있습니다
활선인 상태에서 충전부와는 30cm이상 이격거리두고
한 상의 케이블 피복을 만지거나 또는 두 상의 케이블 피복을 동시에 만지거나 하면 바로 감전인가요?
2. 의견
(1)
22900kv 케이블, 같은경우
주변 전계 형성되어 있어서,
케이블 주변 50cm~1m 간격 으로접근해야한다고 합니다,
가까이가지말라더군요
전기안전공사 35년근무 하신분께서 말씀하셨네요,
가까이가면 감전 혹은 몸에 좋지않다고 하셨어요,
(2)
케이블헤드 같은 충전부에 접촉 및 근접은 절대 안되지만 포설된 케이블은 감전되지는 않습니다.
케이블 트레이가 금속인데 감전되면 안되겠지요.
(3)
절연 및 접지가 제대로 되있으면 감전되지는 않는다고 생각됩니다. 계산상이요. 하지만 전기장 자기장등의 영향은 있어 참고 하시면 좋겠습니다.
ems부분은 계속 연구되어지는 것으로 아직도 확실한 영향등에 대해서는 밝히지 못하고 공개도 좀 애해하다는 걸로알고 있습니다.
(4)
근무하는 사업장은 22.9 지중케이블로 포설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풀박스(?) 에 누수가 생겨 공사업자가 와서 방수작업을 하는데,
아무렇지 않게 만지는 것을 보고 피복은 만져도 문제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5)
이론적으로는 만져도 됩니다. 하지만 만지기 전에 실드가 제대로 접지가 되어 있는 지 확인 한 후 만져야 합니다.
불가피한 경우 아니라면, 가능하면 안 만지는 게 좋습니다..
(6)
충전부(도체) 구간은 당연히 감전되죠
22.9kV 기준 최소 이격거리인 20cm 내에 들어가면 감전될 수 있습니다.
다만 케이블 피복을 만지는건 절연체라 감전 안됩니다.
만약 감전됐으면 활선 진단했던 저는 목숨 200개라도 부족했겠죠.
하지만 절연체가 있더라도 절연상태를 장담할 수 없기에 만지지는 않는게 좋습니다.
(7)
사다리들고 다니던 작업자가 사다리가 고압케이블에 닿으니까 감전사했던 사고사례를 본적이있어요.
피복이라도 감전이 될 순 있다는것을 알게됐죠..
(8)
지중케이블의 경우 활선상태일때 피복을 만지거나 피복을 강제로 벗겨도 감전은 되지않으나, 가급적 이런행동은 않하는게 좋겠죠
가끔 점검때문에 만지는대 감전 가지는 아니지만, 피부에 있는 털이 자기장 영향으로 일어 섭니다. 그리고, 오래된 케이블은 활선경보기가 마구 경보를 울립니다.
'유용한정보 > 전기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지선에서 누설전류가 많이 측정되는 경우 (0) | 2023.10.17 |
---|---|
건물 변압기에 화재가 발생한다면 조치는? (0) | 2023.10.17 |
몰드변압기의 온도와 소음에 대한 질답 (0) | 2023.10.17 |
전계와 자계의 차이 (0) | 2023.10.17 |
3상 모터 트립시 원인 및 현장조치사항 (0)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