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나무숲

모터가 탄 경우 어떤 원인이고 조치사항은? 본문

유용한정보/전기문제

모터가 탄 경우 어떤 원인이고 조치사항은?

전기나무 2023. 10. 15. 20:41

모터가 탄 경우 어떤 원인이고 조치사항은?

모터가 탄 경우 원인 조치사항


1. 문제상황

펜 차단기가 트립되어 있는 걸 확인하고 

모터를 옮겨서 해체해 보니 모터가 타있는 상태이다.

 


2. 원인과 조치사항

 

(1)
1.차단기트립시 전압이 제대로 나오는지 확인
이상이 없다면 부하점검
2.베어링이 고장나서 모타회전을 방해한다면
당연히 전류는 높아 질것이고 전류가 높아지면
열이발생하고 모터 코일이 나가던지 선이 타던지 하겠지요




(2)
절연저항부터 확인하고 이상 있으면 단자대 수분유입 아니면 탄거죠.
절연저항, 선간저항 멀정하면 부무하로 돌려서 이음, 진동, 발열 점검하여 부하측 문제인지 확인
그리고 제일 중요한게 과부하릴레이 설정인데 모터 정격에 110%로 설정안하면
님과 같은 일이 벌어집니다.
전자식이야 잘 동작하지만 님과 같은 아날로그형은 부하가 걸릴때 검출시간을 최대로 길게하고 
전류값을 낮게 서서히 돌려 빨간 불이 들어오는 걸 기억했다가 실전류에 비교하여 차단 전류를 설정하시고
 검출시간을 5초 내외로 다시 설정하세요.



(3)
1. 모터 각 선간 저항 측정하여 단선, 단락 없는지 확인

2. 베어링 파손으로 부하 발생해서 전류값 상승시 코일 소손가능
-단, 차단기 전류 셋팅을 잘못했거나, 차단기 고장시 전원 차단이 안됐을경우

3. 모터 전원공급 케이블 자체 단선, 접촉 불량에 의한 모터 전원 공급이상시

이 3가지 안에서 대부분 확인 가능합니다.


(4)
모터 관리의 핵심이 과부하 계전기 설정과 얼라이먼트관리, 베어링 구리스 보충입니다.
부하에 따른 모터 설정이 제대로 된거라면 위 요소만 관리하면 문제될 일이 거이 없습니다.
모터에서 베어링은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5)
베어링 파손으로 고정자와 회전자간 단락으로 보이는데요
다른원인도 있을 수 있으니 결상여부확인
차단기.접촉기 접점도 확인 해보세요



(6)
이럴경우 전동기 주변에서 탄화 냄새가 심하게 납니다.

전동기 축을 핸드턴하여 확인하여 봅니다.
이상이 없을 경우 터어미널 해체하여 전동기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건전성을 평가합니다.

이 전동기는 베어링의 수명이 전동기 수명이 되어버렸네요.

SHIELD BEARING은 2년 주기로 BEARING의 교체 작업을 권고 합니다.
SHIELD BEARING에 충진된 GREASE수명이 BEARING 수명이며 이 BEARING수명이 전동기 수명이 되었군요

그렇다면 GREASE수명 = 전동기 수명 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7)
BEARING 이 어떠한 이유로 온도가 상승하여 GREASE적점이상 상승하면 
GREASE누출로 윤활제의 부족으로 윤활은 물론 냉각작용을 하지 못하여 사진과 같이
BEARING의 RETAINER가 텃어지면 전동기 고정자와 회전자의 접촉 AIR GAP(공극)의 
접촉사고로 전이 되어 이렇게 정지되게 됩니다



(8)
코일간 저항 찍어보시고... 셋 다 비슷하믄 베어링 갈고 싱 잡아서 쓰시면 되고... 아니면 모터 새로 사시고



(9)
베어링 문제로 회전자 구속되어있으면 모터 코일 타버릴수 있습니다. eocr 설정도 문제있어보이네요


(10)
모터(R, S, T상) 단선시 발생하는 모타 권선 소손 같고요 마그네트 R,S,T상 점촉불량 확인해 보세요.



(11)
베어링 불량시 평소 일일순찰시 관심있게 들어오면 소음으로도 사전 알수 있으며..
현장순찰시 휴대용 적외선온도계로 수시 체크하시면 모터소손 방지 가능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