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대학교 교직원
- 전기 외선
-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
- 무경력 취업
- 강심 알루미늄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전선
- 사람인
- 건설 전기 취업
- 자동제어
- 시설관리
- 주택관리사
- CNCV케이블 지락사고
- 전기안전관리자
- 잡코리아
- 감리 전망
- 전기공사
- 전기직 공무원
- IRP
- 잡플래닛
- 공무직
- 전기 설계 취업
- 자동고장 구분개폐기
- 다주택자 노하우
- 전기직
- 전기설계
- PLC
- 발송배전기술사
- 전기직 군무원
- 초급감리 조언
- 공장공무
- ACSR 케이블 지락사고
전기나무숲
2. 멜섹 GX Works2 시뮬레이션, 통신, 소스쓰기(pc->plc) 본문
2. 멜섹 GX Works2 시뮬레이션, 통신, 소스쓰기
1. 미쓰비시 GX Works2 시작해보기 (tistory.com)
1. 미쓰비시 GX Works2 시작해보기
1. 미쓰비시 GX Works2 시작해보기 (1) 프로젝트시작 (2) 코드짜기 (3) 컴파일 (4) 저장 미쓰비시 멜섹의 코드를 짜고 PLC에 넣기 위해서 GX Works2를 다운받습니다. (1) 프로젝트시작 GX Work2 파일을 켜보면
electree.tistory.com
에서 컴파일까지 진행을 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통신환경설정, 소스쓰기 까지 해보겠습니다.
(1) 시뮬레이션하기
(2) 통신설정하기
(3) 코드쓰기(pc->plc)
(1) 시뮬레이션하기
컴파일이 완료된 코드입니다.
시뮬레이션을 하기 위해서 상단 Debug 탭에서 Start/Stop Simulation 을 누릅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왼쪽상단 창을 보면 ERR에 빨간불이 들어와 있는데
RUN에 가있는 점을 STOP에 갔다가 RESET에 갔다가 다시 RUN 을 해주면 ERR의 빨간불이 없어집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b접점은 파란불로 연결되어 있고 a접점이나 출력에는 불이 안 들어와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을 하기 위해서 a접점과 b접점을 on/off 시키기 위해
상단 Debug 탭에 Forced Input Output Registration/Cancellation을 눌러줍니다.
Forced Input Output Registration/Cancellation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옵니다.
Device에 on/off 바꾸길 원하는 접점의 이름을 입력해주고 register Force 부분을 눌러주면 됩니다.
저는 a접점인 x0를 on 시키기 위해서
device에 x0를 입력하고 register force ON을 눌렀습니다.
그러면 아래에 NO. Device ON/OFF 부분에
제가 입력한 접점들이 입력된걸 볼 수 있습니다.
코드의 X0 부분에도 파란불이 들어왔습니다.
그에따라 Y27 출력부분에 전기가 통하면서 불이 들어오고 Y27접점에도 불이 들어옵니다.
X0를 다시 OFF 시키려면
창에 입력된 X0 옆에 ON/OFF 부분을 마우스 왼쪽으로 더블클릭 해줘도 됩니다.
그렇게 했더니 상태가 OFF 로 변한걸 볼 수 있고
코드에서도 불이 꺼졌습니다.
Y27에 의해 자기유지 중이므로 X0를 제외한 불이 꺼지지 않습니다.
다른 접점도 마찬가지로 Device 부분에 입력해서 추가 가능합니다.
x1을 입력하고 register force on 해보겠습니다.
창에서 x1이 on상태로 바뀌었고
코드에서도 파란불이 들어온걸 볼 수 있습니다.
x1의 on/off 부분을 더블클릭해서 off 상태로 바꿔서 불이 꺼졌습니다.
y28에 의한 자기유지로 나머지 불은 꺼지지 않습니다.
시뮬레이션을 종료하고 싶다면 상단의 Debug의 start/stop simulation을 한 번 더 눌러주면 됩니다.
현재 왼편을 보면 코드입력부분에 네모난 파란색 부분인걸 볼 수 있는데 이상태에서는
코드수정이 불가능 합니다.
이럴때는 Edit의 Ladder Edit Mode의 Write Mode를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오른쪽 네모난 파란색 부분이 투명하게 바뀌면서 코드를 수정가능한 상태로 바뀝니다.
(2) 통신 설정하기
멜섹 gx works2 프로젝트 생성 후 왼쪽을 보면 Connection Destination이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부분을 눌러주고 위에 Current Connection의 Connection1을 마우스 왼쪽 더블클릭 해줍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통신관련 화면이 나옵니다.
이 창에서 Serial USB 부분을 더블클릭 해주면 위와같이 통신을 RS-232C로 할지 USB로 할지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나옵니다. 제가 사용할 CPU에서는 USB 통신을 지원해서 USB로 설정했습니다.
그리고 위의 창에서 빨간색으로 체크해 놓은 Connection Test를 눌러봅니다.
그러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올수가 있습니다.
이런 창이 나오는 건 USB Driver가 설치되지 않아서 일 수 있습니다
또는 멜섹 PLC가 내가 코드를 넣으려는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봅니다.
USB Driver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PLC와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컴퓨터의 장치관리자에 들어가면 됩니다. 여기에서 melsec이라는 부분이 나올텐데 그걸 더블클릭해서 들어가면
USB Driver 를 찾아서 설치하는 창이 나옵니다.그러면 melsec설치할 때 c드라이브에 melsec에 폴더를 타고 들어가서 usb driver 폴더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됩니다.
설치를 잘하셨으면
plc와 컴퓨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다시 이 통신창에 들어가서 connection test를 누르면 successfully install 같이 성공적으로 driver가 설치되어 있다는 창이 뜨게 됩니다. 위의 화면은 실패창입니다.
(3) 소스쓰기
통신환경을 잘 구축했으면 내가 쓴 코드를 plc에 넣으면 됩니다.
먼저 코드를 입력 다한상태에서 컴파일을 끝내야 소스를 넣을 수 있습니다.
코드를 plc에 넣기 위해서 상단탭중 Online에 Write to PLC를 누릅니다.
그러면 위와같으 창이 나옵니다.
Edit Data 옆을 보면 Select All 이라는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누르고 오른쪽 하단의 Execute 버튼을 누르면 소스입력이 시작됩니다.
여러 창이 나올텐데 모두 yes 눌러주면 됩니다.
입력이 끝난걸로 보이면 창을 close, close 하고 나가면 됩니다.
그러면 컴퓨터에 입력한 소스가 plc로 들어갑니다.
'PLC > 미쓰비시-멜섹'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미쓰비시 GX Works2 시작해보기 (0) | 2023.06.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