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잡플래닛
- IRP
- 전기설계
- 감리 전망
- 다주택자 노하우
- 주택관리사
- ACSR 케이블 지락사고
- 공무직
- 자동고장 구분개폐기
- 사람인
- 공장공무
- 잡코리아
- 전기안전관리자
- 발송배전기술사
- 전기 외선
- 전기 설계 취업
- 강심 알루미늄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전선
- 초급감리 조언
- 전기직 공무원
- PLC
- 건설 전기 취업
- CNCV케이블 지락사고
- 전기공사
- 전기직 군무원
- 시설관리
- 전기직
- 대학교 교직원
- 자동제어
- 무경력 취업
-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
전기나무숲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직 하는 일 및 근무환경 본문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직 하는 일 및 근무환경

1.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기직에 들어가게 되었는데요. 공사협회 경력수첩에 경력으로 인정될 수 있을까요?
->이거는 해당 하수처리시설 업체가 지자체 와 계약할때 업무지시 목록이 있습니다
저는 아예 계약서 통으로 복사해서
전기기술인협회 등기로 보냈어요
경력변경신청서 및 각종서류 ,자격증 사본, 계약서(전기업무 명시되어있어야함)
보내면 경력 100% 인정해줍니다
저는 운좋게 취득전 경력 인정해주는 회차에 전기산업기사 합격해서
기존경력50% 인정 및 근무후 경력 100% 인정받았습니다
2. 하수처리장 전기직 근무는 주로 어떤 일을 맡게 되며 근무환경은 어떤가요? 혹 전기 기술로 배울 점이 있을까요?
-> 주 업무는 하수를 기준치 이하로 정화시켜 바다나 하천으로 배출하는게 주 업무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계 가동이 필수적이고
기계를 돌리려면 전기는 당연하겠죠?
제가 겪어본 업무 간략하게 말씀드려 보자면
각종 교반기 인양후 점검 , 수중펌프 인양후 점검,
오뚜기 센서 점검 및 교체
링브로워 or 루우츠브로워 점검( 밸트 및 오일 , 소음등)
브로워 후렌지 및 배출구 부분 고무패킹 점검
처리장에 존재하는 모든 배관 파손여부 점검
버터블라이밸브 , 게이트밸브 , 볼밸브 등 밸브류 점검, 이물질 끼어있을시 탈착후 이물질 제거
슬러지 저류조 및 농축조 가 가득차거나 일정기간 되면 준설차 혹은 분뇨차 수배해서 작업
그 외 전기 수배전반 점검 및 기기교체 (MCCB .ELB , MC , EOCR , 콘덴서 , 릴레이 , 휴즈 등등)
전기는 단상 및 3상 체크하고 기기 가동시 암페어 측정 및 절연측정
처리장 가장 첫 단 스크린조에서 걸러지는 각종 협잡물 제거
처리시설 로 오수를 이송시켜주는 중계펌프장이 따로 존재하는데
주기적으로 점검 하고 인양해서 이물질 제거 해야합니다
안그러면 민원 엄청나요
이것 말고도 일이 엄청 많고
이 모든 일은 당연히 서류 화 해야 합니다
작업내용 월별 보고서에 첨부 해야하구요
기계 나 소수선 내역도 모조리 보관해놔야 나중에 골치 안아픕니다
당연히 환경은 하루종일 냄새나는 곳에서 생활해야 합니다
그리고 공법에 따라 시설이 달라지는데
막공법 운영하는곳은 피하세요
사람 키 만한 분리막 전부 분해해서 세척해야합니다
그리고 여름에 예초는 디폴트 에요 여름내내 돌립니다
3000자 안으로 적어드리기엔 양이 방대하네요 ㅠㅠ;
3. 워라밸이 괜찮다고 해서 내년에 전기기사 시험을 준비해볼까 합니다. 혹 공부할 여건이 될까요??
->워라밸이 괜찮을수도 아닐수도 있어요
이건 같은 업종이어도 회사나 현장이 어디냐에 따라 천차만별 입니다
1만톤급 큰 처리장이시면 교대근무시니 퇴근하고 다시 출근할일은 없으실거같고
소규모 하수처리장 이시면 피하세요...
특히 여름 태풍오거나 장마철에 새벽에도 공무원 전화오면 출근해야하고
대한민국 특성상 오수관로가 엉망진창이라
비 많이오면 빗물이 처리장으로 모두 흘러들어옵니다
4. 마지막으로 입사 취소하고 공사업체 또는 공장 공무 겸 시설 관리에 들어가야하나 싶은 생각이 있습니다. 이게 나을까요?
->저는 여기서 미래를 못보았고 퇴사했습니다
그 치 만 시설에서 해볼수있는 어지간한 작업은
하수처리장 근무하시면 다 해보실수 있으실겁니다
특히 비위가 정말 강해집니다
(2)
하수처리장 근무자로서 말씀드리자면~
첫째. 워라벨은 좋은편이고요
둘째 배울점은 본인하기 나름이라 생각 들고요(말그대로 본인하시기 나름입니다.
저는 스스로 많은 설비들을 만져보고 수리하고 합니다. 하지만 일체 외주주는 곳도 있으므로 하시기 나름입니다.
-아파트,빌딩 같은 시설관리보다는 배울게 훨더 많을 겁니다. )
셋째. 워라벨이 좋다고 나태해지면 한도 끝도 없는 곳입니다. 꾸준한 자기계발이 필요합니다.
대학에 입학하시던지 자격증을 취득하시던지요
넷째. 엔지니어링 협회나 건설기술인협회 그리고 한국전기기술인협회에서 경력으로 인정됩니다.
단. 80%정도만 인정하는거로 알고 있습니다.
다섯째. 중급기술자 이상의 경력이 되신다면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세전 330이상은 받으실 수 있겠습니다.
'취업정보 > 전기현직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초급감리로 가고 싶은 사람에게 하는 조언 (0) | 2023.10.21 |
---|---|
전기공사 자체감리 시 준비하는 방법 (0) | 2023.10.19 |
자동제어에서 전기공무로 이직 후 힘든 후기 (0) | 2023.04.17 |
건설현장 입문에 관한 조언(플랜트, 하우징, 반도체) (0) | 2023.04.12 |
전기자격증을 소유한 시설관리는 괜찮습니다. (0) | 2023.04.11 |